From 96cf31afb252a675e9f2d533d241bd394e8fb70a Mon Sep 17 00:00:00 2001 From: hyex Date: Sun, 18 Oct 2020 23:41:00 +0900 Subject: [PATCH] =?UTF-8?q?[=EC=98=A4=EB=B2=88=EC=97=AD=EC=88=98=EC=A0=95]?= =?UTF-8?q?=20=ED=8C=8C=ED=8A=B8=201.4.6=20=EC=98=B5=EC=85=94=EB=84=90=20?= =?UTF-8?q?=EC=B2=B4=EC=9D=B4=EB=8B=9D?= MIME-Version: 1.0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 Content-Transfer-Encoding: 8bit --- 1-js/04-object-basics/07-optional-chaining/article.md | 2 +- 1 file changed, 1 insertion(+), 1 deletion(-) diff --git a/1-js/04-object-basics/07-optional-chaining/article.md b/1-js/04-object-basics/07-optional-chaining/article.md index 6bc01e452d..13704cbf97 100644 --- a/1-js/04-object-basics/07-optional-chaining/article.md +++ b/1-js/04-object-basics/07-optional-chaining/article.md @@ -126,7 +126,7 @@ user2.admin?.(); 그리고 난 후 `?.()`를 사용해 `admin`의 존재 여부를 확인했습니다. `user1`엔 `admin`이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메서드가 제대로 호출되었습니다. 반면 `user2`엔 `admin`이 정의되어 있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메서드를 호출하면 에러 없이 그냥 평가가 멈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신 대괄호 `[]`를 사용해 객체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경우엔 `?.[]`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위 예시와 마찬가지로 `?.[]`를 사용하면 프로퍼티 존재 여부가 확실치 않은 경우에도 안전하게 프로퍼티를 읽을 수 있습니다. +`.`대신 대괄호 `[]`를 사용해 객체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경우엔 `?.[]`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위 예시와 마찬가지로 `?.[]`를 사용하면 객체 존재 여부가 확실치 않은 경우에도 안전하게 프로퍼티를 읽을 수 있습니다. ```js run let user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