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 [level 1] 실패율 - 42889 |
| 2 | + |
| 3 | +[문제 링크](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9?language=javascript) |
| 4 | + |
| 5 | +### 성능 요약 |
| 6 | + |
| 7 | +메모리: 67.2 MB, 시간: 5073.71 ms |
| 8 | + |
| 9 | +### 구분 |
| 10 | + |
| 11 | +코딩테스트 연습 >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
| 12 | + |
| 13 | +### 채점결과 |
| 14 | + |
| 15 | +정확성: 100.0<br/>합계: 100.0 / 100.0 |
| 16 | + |
| 17 | +### 제출 일자 |
| 18 | + |
| 19 | +2024년 07월 26일 22:37:53 |
| 20 | + |
| 21 | +### 문제 설명 |
| 22 | + |
| 23 | +<h2>실패율</h2> |
| 24 | + |
| 25 | +<p><img src="https://grepp-programmers.s3.amazonaws.com/files/production/bde471d8ac/48ddf1cc-c4ea-499d-b431-9727ee799191.png" title="" alt="failture_rate1.png"></p> |
| 26 | + |
| 27 | +<p>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p> |
| 28 | + |
| 29 | +<p>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p> |
| 30 | + |
| 31 | +<ul> |
| 32 | +<li>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33 | + |
| 34 | +<ul> |
| 35 | +<li>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li> |
| 36 | +</ul></li> |
| 37 | +</ul> |
| 38 | + |
| 39 | +<p>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p> |
| 40 | + |
| 41 | +<h5>제한사항</h5> |
| 42 | + |
| 43 | +<ul> |
| 44 | +<li>스테이지의 개수 N은 <code>1</code> 이상 <code>500</code> 이하의 자연수이다.</li> |
| 45 | +<li>stages의 길이는 <code>1</code> 이상 <code>200,000</code> 이하이다.</li> |
| 46 | +<li>stages에는 <code>1</code> 이상 <code>N + 1</code> 이하의 자연수가 담겨있다. |
| 47 | + |
| 48 | +<ul> |
| 49 | +<li>각 자연수는 사용자가 현재 도전 중인 스테이지의 번호를 나타낸다.</li> |
| 50 | +<li>단, <code>N + 1</code> 은 마지막 스테이지(N 번째 스테이지) 까지 클리어 한 사용자를 나타낸다.</li> |
| 51 | +</ul></li> |
| 52 | +<li>만약 실패율이 같은 스테이지가 있다면 작은 번호의 스테이지가 먼저 오도록 하면 된다.</li> |
| 53 | +<li>스테이지에 도달한 유저가 없는 경우 해당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code>0</code> 으로 정의한다.</li> |
| 54 | +</ul> |
| 55 | + |
| 56 | +<h5>입출력 예</h5> |
| 57 | +<table class="table"> |
| 58 | + <thead><tr> |
| 59 | +<th>N</th> |
| 60 | +<th>stages</th> |
| 61 | +<th>result</th> |
| 62 | +</tr> |
| 63 | +</thead> |
| 64 | + <tbody><tr> |
| 65 | +<td>5</td> |
| 66 | +<td>[2, 1, 2, 6, 2, 4, 3, 3]</td> |
| 67 | +<td>[3,4,2,1,5]</td> |
| 68 | +</tr> |
| 69 | +<tr> |
| 70 | +<td>4</td> |
| 71 | +<td>[4,4,4,4,4]</td> |
| 72 | +<td>[4,1,2,3]</td> |
| 73 | +</tr> |
| 74 | +</tbody> |
| 75 | + </table> |
| 76 | +<h5>입출력 예 설명</h5> |
| 77 | + |
| 78 | +<p>입출력 예 #1<br> |
| 79 | +1번 스테이지에는 총 8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이 중 1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 따라서 1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p> |
| 80 | + |
| 81 | +<ul> |
| 82 | +<li>1 번 스테이지 실패율 : 1/8</li> |
| 83 | +</ul> |
| 84 | + |
| 85 | +<p>2번 스테이지에는 총 7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이 중 3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 따라서 2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p> |
| 86 | + |
| 87 | +<ul> |
| 88 | +<li>2 번 스테이지 실패율 : 3/7</li> |
| 89 | +</ul> |
| 90 | + |
| 91 | +<p>마찬가지로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p> |
| 92 | + |
| 93 | +<ul> |
| 94 | +<li>3 번 스테이지 실패율 : 2/4</li> |
| 95 | +<li>4번 스테이지 실패율 : 1/2</li> |
| 96 | +<li>5번 스테이지 실패율 : 0/1</li> |
| 97 | +</ul> |
| 98 | + |
| 99 | +<p>각 스테이지의 번호를 실패율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다음과 같다.</p> |
| 100 | + |
| 101 | +<ul> |
| 102 | +<li>[3,4,2,1,5]</li> |
| 103 | +</ul> |
| 104 | + |
| 105 | +<p>입출력 예 #2</p> |
| 106 | + |
| 107 | +<p>모든 사용자가 마지막 스테이지에 있으므로 4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1이며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이다.</p> |
| 108 | + |
| 109 | +<ul> |
| 110 | +<li>[4,1,2,3]</li> |
| 111 | +</ul> |
| 112 | + |
| 113 | + |
| 114 | +> 출처: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