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122 lines (64 loc) · 4.83 KB

ch02_study.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122 lines (64 loc) · 4.83 KB

ch_02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

네트워크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대부분 구름 모양의 클라우드 아이콘을 사용한다.

router

기본적인 네트워크 기기

  • 라우터
  • 레이어2 스위치
  • 레이어3 스위치

이 네트워크들 기기는 모드 데이터를 전송한다.(자세한 설명은 ch5, 6)

데이터 전송처리 단계

  1. 데이터 수신 : 전기신호 등 물리적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원래 디지털 신호(0, 1)로 되돌린다.
  2. 데이터 보낼 곳을 결정 : 데이터에 부가된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전송할 곳을 결정한다.
  3. 데이터 전송 : 데이터를 물리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보낸다.
라우터 레이어2 스위치 레이어3 스위치
router router l3-switch

스위치란? : https://ngg3319.tistory.com/102

스위치, 라우터 개념/차이 : https://grapherstory.tistory.com/104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구성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기기끼리나 PC, 서버 등을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기기에는 __인터페이스__가 갖추어져 있다.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이더넷 인터페이스이다.

인터페이스나 포트를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자.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이더넷 포트나 LAN포트로도 불린다.

전송 매체와 링크

각 기기에 달린 인터페이스끼리 __연결(링크)__한다.

인터페이스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__전송 매체__라고 한다. 데이터를 변환한 전기신호 등 물리적인 신호가 전송 매체를 통해 전달되어 들어간다. 전송 매체는 유선/무선인 경우 모두 있다.

다양한 기기의 인터페이스를 전송 매체로 연결해 링크를 구성함으로써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인터페이스는 무엇의 경계일까?

인터페이스는 '경계'라는 의미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0','1'의 디지털 데이터와 전기신호가 같은 물리적 신호의 경계이다.

PC와 스마트폰 등 네트워크 기기가 다루는 '0'과 '1'의 디지털 데이터는 전기신호 등 물리적 신호로 변환되어 인터페이스에서 송출되고, 링크로 전달되어 간다.

네트워크를 만든다

LAN의 주요기술

LAN은 사용자가 직접 구축한다.

LAN을 구축하는 주요 기술은 다음 두 가지이다.

  • 이더넷
  • 무선 LAN(Wi-Fi)
LAN의 구출

사용자가 LAN을 구축하려면, 이더넷 인터페이스가 있는 라우터와 레이어2, 레이어3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기기를 준비해야 한다.

준비된 기기들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LAN 케이블로 연결해 가면, 기기 사이에 링크가 구성되고 LAN이 만들어진다. 즉 이 네트워크는 유선 LAN이 되는 것이다.

무선 LAN을 이용하려면 네트워크의 기기인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LAN인터페이스가 있는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설계 프로세스

미리 어떤 네트워크를 만들고 싶은지 생각할 필요가 있고, 이렇게 구상하는 것을 __네트워크 설계__라고 한다.

프로세스 개요
요건정의 네트워크에 필요한 기능과 성능을 명확히 한다.
설계 요건정의에서 결정한 요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결정한다.
구축 설계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기기의 배치, 배선, 필요한 설정을 한다.
운용관리 네트워크가 정상으로 동작하도록 검토한다. 문제가 있으면 원인을 파악해 복구한다.

네트워크 구성도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논리구성도

논리구성도를 이용해 네트워크끼리 어떻게 연결되는지 나타낸다.

논리구성도의 핵심은 몇 개의 네트워크가 어느 라우터와 레이어3 스위치로 연결되는지 파악하기 쉽게 정리하는 것이다.

기기의 배치와 배선을 나타내는 물리구성도

물리구성도의 핵심은 어느 기기의 어느 인터페이스가 어떠한 케이블로 배선되는지 파악하기 쉽게 정리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