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111 lines (61 loc) · 4.15 KB

가상화_이해하기_#1.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111 lines (61 loc) · 4.15 KB

가상화 이해하기 #1


가상화는 컴퓨터 자원을 분할하여 여러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주로 세 가지 유형의 가상화가 사용된다.


호스트 가상화

호스트 가상화는 Base가 되는 Host OS 위에 Guest OS가 구동되는 방식.

img_4.png

종류로는 VM Workstation, VMware Server 등.

장점 : 호스트 운영체제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는다.
단점 : 다른 운영체제를 위한 자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하이퍼바이저 가상화

하이퍼 가상화는 Host OS 없이 하드웨어에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

img_5.png

종류로는 Xen, MS hyper-V, citrix, KVM 등이 있다.

장점 : 별도의 Host OS가 없기 때문에 자원 사용이 효율적
단점 : 관리를 위한 별도의 컴퓨터나 콘솔이 필요하다.


전 가상화 (Full-Virtualization)

전 가상화는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하는 방식으로 Hardware Virtual Machine이라고도 불린다.


쉽게 말해 하이퍼바이저는 가상화된 OS가 뭐든지 간에 각 OS들이 내리는 명령어를 알아들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에서 Add, 리눅스에서 ADD, 맥에서 add 라는 명령어를 내렸을때 하이퍼바이저가 “더해라”라고 번역하여 명령어를 실행.
하이퍼바이저는 이러한 번역 역할뿐만 아니라 가상화된 OS들에게 자원을 할당해 주는 역할도 담당.


장점 :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하기 때문에 Guest OS 운영체제의 별다른 수정이 필요 없음
단점 : 하이퍼바이저가 모든 명령을 중재하기 때문에 성능이 비교적 느림


반가상화 (Para-Virtualization)

반가상화는 전 가상화와 달리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하지 않는다.

전 가상화의 가장 큰 단점인 성능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이퍼콜(Hyper Call)이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이퍼바이저에게 직접 요청을 날릴 수 있다.
쉽게 말하면 가상화된 각 OS들이 각각 다른 번역기를 갖고 있는 것입니다.
그 번역기는 각각 다른 OS에서 내리는 각각 다른 명령어를 “더해라”라고 번역해 주게 되는 것.

장점 : 모든 명령을 DOM0를 통해 하이퍼바이저에게 요청하는 전 가상화에 비해 성능이 빠름
단점 : 하이퍼바이저에게 Hyper Call 요청을 할 수 있도록 각 OS의 커널을 수정해야 하며 오픈소스 OS가 아니면 반가상화를 이용하기가 쉽지 않음



컨테이너 가상화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컨테이너 관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독립적인 작업 환경(컨테이너)을 생성.

img_6.png

각 컨테이너는 필요한 라이브러리와 애플리케이션을 갖추고 있어 개별 서버처럼 사용될 수 있다.

장점 : 컨테이너 가상화는 오버헤드가 적어 가볍고 빠른 장점이 있다.


  • 오버헤드
    • 오버헤드는 어떤 처리를 하기 위해 들어가는 간접적인 처리 시간 · 메모리 등을 말한다.




VRA (vRealize Automation)

VMware의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사용자들이 IT 서비스를 자동화하고 제공하는 데 도움.


VRO (vRealize Orchestrator)

VMware에서 제공하는 IT 프로세스 자동화 도구, 복잡한 IT 작업을 자동화하여 효율성과 일관성을 향상.


VRLI (vRealize Log Insight)

VMware의 로그 관리 및 분석 솔루션, 실시간 로그 관리, 로그 분석, 로그 검색 등의 기능을 제공.


VROPS (vRealize Operations)

VMware의 IT 운영 관리 솔루션, IT 환경의 성능 최적화, 용량 계획, 문제 해결 등을 지원.


VRNI (vRealize Network Insight)

VMware의 네트워크 및 보안 분석 도구, 가시성,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보안 관리 등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