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74 lines (61 loc) · 2.96 KB

2. url.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74 lines (61 loc) · 2.96 KB

URL 문법

  • 스킴://사용자이름 : 비밀번호 @ 호스트 : 포트/경로 ; 파라미터 ? 질의 # 프래그먼트
  • 각 프로토콜마다 사용하는 문법 구조가 조금씩 다름

    http : 스킴://호스트:포트/경로
    ftp : 스킴://사용자이름:비밀번호@호스트:포트/경로

스킴

  • 클라이언트가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해야하는 프로토콜, Http/ftp/rtsp등 사용
  • 구분자 : :

호스트, 포트

  • 호스트 : 인터넷 상에 리소스가 호스팅되어있는 네트워크 장비 주소
  • 포트 :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스에 접근하는 포트

    포트를 명시하지 않을경우 디폴트 포트인 80포트로 접속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 리소스에 접근 권한을 얻기 위한 컴포넌트
  • 주로 FTP 서버에서 사용
  • 구분자 : :,@

    ftp://wm10321:password@navercorp.com/index.html

리소스 경로

  • 서버 로컬에 리소스가 저장되어있는 디렉토리 경로
  • 구분자 : /

파라미터

질의문자열

프래그먼트

  • 리소스의 일부분만을 요청하고자 할때, 요청부분을 명시하는 컴포넌트
  • 구분자 : #
  • Http 서버의 경우 프래그먼트 동작 x

    서버는 리소스 전체를 응답해줌, 클라이언트에서 전달받은 리소스의 일부만을 출력


단축 URL

  • 리소스 내부에 리소스를 기술할경우 리소스 url 을 간결하게 작성하는 방법

    url : 절대 url(full url) / 상대 url(단축 url)

  • 상대 url을 절대 url로 변환하여 리소스 접근
  • 상대 url이 포함되어있는 리소스의 기저 url 참조

    상대 url : /login.html
    상위 url : http://navercorp.com/root/index.html
    기저 url : http://navercorp.com/root
    기저 + 상대 url : http://navercorp.com/root/login.html

  • 상대 -> 절대 url 변환 과정
    1. 기저 url 탐색
    2. url 분해
    3. 기저 + 상대 url 결합

url 확장

  • 브라우저에 사용자가 url 입력시 자동으로 full url을 완성해주는 기능
  • 호스트명 확장 :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를 포함하고있는 사이트를 검색하여 확장
  • 히스토리 확장 : 사용자가 이전에 방문했던 사이트 url중에서 검색하여 확장

url 문자 집합

  • US-ASCII 문자 집합 사용
  • US-ASCII 에서 url로 사용이 금지된 문자들은 이스케이프 문자로 인코딩하여 사용
  • 이스케이프 문자 : % + 16진수 아스키 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