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48 lines (24 loc) · 3.21 KB

공개키 & 대칭키.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48 lines (24 loc) · 3.21 KB

대칭키 & 공개키

[대칭키 암호화]

  •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가 동일한 암호화 기법이다.
  • 대칭키 암호 방식으로 암호화한 정보를 누군가에게 보낼 때, 암호키도 함께 보내야 한다. 암호키 자체는 암호화가 되지 않은 평문으로 분실하거나 타인에게 노출되면 보안에 매우 취약할 수 있다.
  • 키 전달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지만, 대칭키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 연산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효율적인 암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블록 암호화, 스트림 암호화가 있다.

[공개키 암호화]

  • 대칭키 암호화 방식의 키 전달의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방식이다. 암호화에 사용하는 키와 복호화에 사용하는 키를 분리했다. 따라서 비대칭키 암호화라고도 부른다.

  •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암호키(개인키 혹은 비밀키)로만 복호화할 수 있는 암호키(공개키)를 대중에게 공개한다.

  • 공개키 암호화 방식의 진행과정

    1. B 사용자는 자신의 공개키를 공개한다. 이 공개키는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이며, 누구든지 열람이 가능하다.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는 B 자신만 가지고 있다. 잃어버리면 안된다.)
    2. A 사용자는 B 사용자의 공개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3. 암호화된 문서를 B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4. B 사용자는 자신만의 개인키(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전송받은 암호화 문서를 복호화하여 데이터를 열람한다.
  • 대칭키 암호화 방식의 키 전달 문제를 해결했지만 암호화, 복호화를 위해 복잡한 수학 연산을 수행하기 때문에 대칭키 방식에 비해 속도가 느리고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칭키 암호화의 장점과 공개키 암호화의 장점을 채택하여 용량이 큰 정보는 대칭키로 암호화하고, 암호화에 사용된 대칭키는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대상에게 전달하는 하이브리드 암호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공개키 기반 구조

특정 사람의 개인키와 공개키는 어떻게 생성할 것이며, 어떻게 배포할 것이고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슈가 존재한다. 또한, 어떤 공개키가 특정한 사람의 공개키라는 것을 어떻게 보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슈도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인증서를 도입했고 이를 활용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정책, 제도, 사용자 등을 총칭해서 공개키 기반 구조라고 한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