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This repository has been archived by the owner on Aug 13, 2022. It is now read-only.

지역 및 카테고리 도메인 설계 이슈 #70

Open
ssibongee opened this issue Jun 30, 2021 · 1 comment
Open

지역 및 카테고리 도메인 설계 이슈 #70

ssibongee opened this issue Jun 30, 2021 · 1 comment
Assignees

Comments

@ssibongee
Copy link
Collaborator

  • 현재 확장성을 고려하여 카테고리를 열거 타입이 아닌 별도의 테이블로 만들어서 구성
    • 카테고리가 정말 그렇게 확장성이 높은 도메인인가
    • 지금 게시글 조회할 때마다 필수적으로 불러읽어와야하는 카테고리의 비효율성을 없애기 위해 캐싱을 적용해서 사용하고 있음
    • 차라리 이렇게 자주 빈번하게 동시에 조회되고 결합도가 높은 속성이라면 캐싱을 적용해서 성능개선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테이블에서 관리하는 것이 맞지 않은가
  • 지역 같은 경우는 오히려 별도의 테이블로서 관리되어야 할 것 같은데 내부 컬럼으로 관리가 되어짐
    • 결국 사용자와 게시글 테이블에 지역에 관련된 컬럼이 중복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부분은 정규화를 통해서 별도의 테이블로 분리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 지역은 단순 시도, 시군구, 읍면동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들을 가질 수 있을 것 같은데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라도 별도의 도메인으로 분리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
    • 충분히 다른 테이블로 분리하더라도 인덱스를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이 경우 외래키를 인덱스로 사용하는 경우와 경우와 거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지역들을 어떻게 클러스터로 묶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지 인덱스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을지를 고려해야함
@ssibongee ssibongee self-assigned this Jun 30, 2021
@ssibongee
Copy link
Collaborator Author

  • 지역 같은 경우 내부에 별도의 테이블로 관리할 수도 있지만 도로교통부의 도로명주소 공공 API를 활용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 이 경우 특정 API에 애플리케이션이 강하게 결합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지만 별도의 지역관련 테이블을 관리할 필요가 없어진다.

Sign up for free to subscribe to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No branches or pull requests

1 particip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