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105 lines (67 loc) · 4.02 KB

item5.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105 lines (67 loc) · 4.02 KB

아이템 5: 리소스를 엮을 때는 의존성 주입을 선호하라

대부분의 클래스는 여러 리소스에 의존한다. 이 책에서는 SpellCheckerDictionary를 예로 들고 있다. 즉, SpellCheckDitionary를 사용하고, 이를 의존하는 리소스 또는 의존성이라고 부른다. 이때 SpellChecker를 다음과 같이 구현하는 경우가 있다.

부적절한 구현

static 유틸 클래스 (아이템4)

// 부적절한 static 유틸리티 사용 예 - 유연하지 않고 테스트 할 수 없다.
public class SpellChecker {

    private static final Lexicon dictionary = new KoreanDicationry();

    private SpellChecker() {
        // Noninstantiable
    }

    public static boolean isValid(String word) {
        throw new 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


    public static List<String> suggestions(String typo) {
        throw new 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
}

interface Lexicon {}

class KoreanDicationry implements Lexicon {}

싱글톤으로 구현하기 (아이템3)

// 부적절한 싱글톤 사용 예 - 유연하지 않고 테스트 할 수 없다.
public class SpellChecker {

    private final Lexicon dictionary = new KoreanDicationry();

    private SpellChecker() {
    }

    public static final SpellChecker INSTANCE = new SpellChecker() {
    };

    public boolean isValid(String word) {
        throw new 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


    public List<String> suggestions(String typo) {
        throw new 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

}

사전을 하나만 사용할꺼라면 위와 같은 구현도 만족스러울 수 있겠지만, 실제로는 각 언어의 맞춤법 검사기는 사용하는 사전이 각기 다르다. 또한 테스트 코드에서는 테스트용 사전을 사용하고 싶을 수도 있다.

어떤 클래스가 사용하는 리소스에 따라 행동을 달리 해야 하는 경우에는 스태틱 유틸리티 클래스와 싱글톤을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그런 요구 사항을 만족할 수 있는 간단한 패턴으로 생성자를 사용해서 새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사용할 리소스를 넘겨주는 방법이 있다.

적절한 구현

public class SpellChecker {

    private final Lexicon dictionary;

    public SpellChecker(Lexicon dictionary) {
        this.dictionary = Objects.requireNonNull(dictionary);
    }

    public boolean isValid(String word) {
        throw new 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
    
    public List<String> suggestions(String typo) {
        throw new 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

}

class Lexicon {}

위와 같은 의존성 주입은 생성자, 스태틱 팩토리(아이템1) 그리고 빌더(아이템2)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패턴의 변종으로 리소스의 팩토리를 생성자에 전달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은 자바 8에 들어온 Supplier<T> 인터페이스가 그런 팩토리로 쓰기에 완벽하다. Supplier<T>를 인자로 받는 메서드는 보통 bounded wildcard type (아이템31)으로 입력을 제한해야 한다.

Mosaic create(Supplier<? extends Tile> tileFactory) { ... }

의존성 주입이 유연함과 테스트 용이함을 크게 향상 시켜주지만, 의존성이 많은 큰 프로젝트인 경웅에는 코드가 장황해 질 수 있다. 그점은 대거, 쥬스, 스프링 같은 프레임웍을 사용해서 해결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의존하는 리소스에 따라 행동을 달리하는 클래스를 만들 때는 싱글톤이나 스태틱 유틸 클래스를 사용하지 말자. 그런 경우에는 리소스를 생성자나 팩토리로 전달하는 의존성 주입을 사용하여 유연함, 재사용성, 테스트 용이성을 향상 시키자.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