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스터디 규칙

yujung7768903 edited this page Apr 15, 2023 · 5 revisions

👋 운영

  • 스터디 주제: 운영체제
  • 총 인원 수: 4명
  • 운영 기간: 23.04.20 ~ 23.05.18 ( 5주 )
  • 모임 날짜: 매주 목요일 오후 7시 (2시간 ~ 3시간), 온라인
  • 보증금: 3만원 (스터디 종료 후 벌금 제외한 보증금 모두 반환)

📍 과제 및 발표 안내

[ 과제 ]

  • 정기 모임 날까지 각자 5분~ 10분 정도의 “발표”와 “퀴즈”를 준비해야 합니다.
  • 발표 자료는 정기 모임날 오후 12시까지 올려주셔야 합니다.

[ 발표 ]

  • 매주 연관성 있는 2개의 주제를 선정합니다.
    • 전혀 다른 주제일 경우 다른 스터디원이 준비한 발표에 흥미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연관성 있는 주제들로 선정하려고 합니다. 예시) 페이징과 세그멘테이션,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2명씩 같은 주제에 대해 발표를 준비합니다.
    • 같이 준비하는 게 아니라 주제만 같고, 각자 준비하는 방식입니다. 해당 방식으로 진행하게 되면, 각자의 발표에서 부족한 점을 채워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 퀴즈 ]

  • 자신이 준비한 주제에 대해 퀴즈 3개를 준비해야 합니다.
  • 발표를 듣고 고민해볼 수 있는 정도의 수준으로 준비하되 너무 기초적인 수준은 피해 주세요.

👩🏻‍💻 정기 모임 진행 방식

[ 요약 ]

  • 총 2트랙으로 진행되며, 하나의 트랙에는 발표, 퀴즈 풀이, 질의응답 세션이 있습니다.
  • 평균적으로 2시간에서 3시간 정도로 예상하고 있으며, 각각의 세션 시간은 상황에 따라 5분에서 10분정도 조정될 수 있습니다.
  • 마지막 모임 날에는 그전까지 진행했던 주제들로 면접 스터디를 진행합니다.

[ 예시 ]

스터디원 a, b, c, d 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 1트랙
    • 발표(30분): 1번 주제에 대해 발표를 준비한 a, b가 각자 발표를 진행합니다.
    • 퀴즈 풀이(20분): 발표를 들은 c, d 는 a와 b가 준비한 퀴즈를 풉니다.
    • 질의응답(10분): 퀴즈를 맞히고 풀면서 궁금했던 점에 대해 질의응답을 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 2트랙
    • 발표(30분): 2번 주제에 대해 발표를 준비한 c, d가 각자 발표를 진행합니다.
    • 퀴즈 풀이(20분): a와 b가 퀴즈를 풉니다.
    • 질의응답(10분): 퀴즈에 대해 질의응답 시간을 가집니다.
  • 마무리
    • 개인적으로 좋았던 발표에 대한 투표
    • 질문을 잘 준비해온 사람 or 다른 사람에게 좋은 질문을 한 사람 or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잘한 사람에게 투표
    • 다음 주 주제와 해당 주제 발표자 선정

📚 주제 후보

  •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 (왜 스택만 독립적으로 할당하는지? 각각의 장단점. )
  • 멀티 프로세스 & 멀티 스레드의 특징
  • thread-safe의 의미
  • 가상 메모리
  • 캐시
  • 스케줄러
  • 컨텍스트 스위칭
  • 뮤텍스와 세마포어
  • 페이징
  • 세그멘테이션
  •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지금 사용중인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은 뭔지?)
  • 메모리 구조
  • 프로세스 동기화
  • 동기화 도구 - 모니터

💸 벌금 및 패널티

  • 말 없이 불참 시 스터디 퇴출
  • 5분 이상 지각시: +1,000원
  • 발표 자료 그 날 오후 12시까지 안 올린 경우: +1,000원 (+그 주 주말까지 발표 자료 업로드!)
  • 미제출 발표 자료 그 주 주말까지 안 올릴 경우: +1,000원
  • 불참 또는 발표 미준비: +5,000원 (불가피한 사유일 경우 패스 1번 가능)
  • 모임 마지막 날에 벌금을 제외한 보증금을 돌려드립니다.
  • 모인 벌금은 발표에 대해 투표를 가장 많이 받은 분과 질문과 관련해 투표를 가장 많이 받은 두 분께 벌금을 나눠 드릴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