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KimChanw/Ribbon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Latest commit

 
 
 
 
 
 
 
 
 
 
 
 
 
 
 
 
 
 
 
 
 

Repository files navigation

의사소통 장애인을 위한 AAC 서비스 - 리:본

저희는 데이터 청년캠퍼스 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정 B반 3조입니다. 본 프로젝트는 자연어처리 과정 심화프로젝트에서 제작한 서비스입니다.

저희 서비스 이름은 리:본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어우러져 산다'는 의미와 '다시 태어나다'라는 중의적 의미를 가진 aac 웹서비스 시스템 '리본'을 개발했습니다.

평소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지는 장애인을 위해 단어 예측을 기반으로 픽토그램을 불러들여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합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어우러져 산다'는 의미와 '다시 태어나다'라는 중의적 의미를 가진 aac 웹서비스 시스템 '리본'을 개발했습니다.

사용 모델

시중에 공개된 Bert-ko-base 모델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작했습니다. https://huggingface.co/kykim/bert-kor-base

개발 동기 및 목적

  1. 딥러닝을 통한 단어 생성 모델을 활용해 의사 표현에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서비스
  2. 개발목표 : 의사표현에 장애를 지닌 사람들을 위한 AI 서비스 개발

추진 배경

'약자를 위한 AI 개발'이라는 공통된 가치관 아래, 의사소통 장애인의 어려움에 주목하여 기존 AAC(보완대체 의사소통)의 기능과 가격 등 한계점을 AI 기반 서비스로 개선하고자 함

결과물

image image

기능 설명

[메인 화면]

  1. 긴급 의사소통판 : 사용자가 위급 상황 시 사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판

  2. 상징으로 말하기

    • BERT 기반 생성 모델로 사용자의 입력 단어에 따라 다음 단어가 예측됨

[상징으로 말하기]

  1. 문장만들기

    • 예측을 위해 정해진 시작 단어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문장 생성 시작
  2. 장소

    • 장소 별로 사용할 수 있는 단어 모음
    • 카페, 편의점, 병원, 주민센터
  3. 숫자

    • 사용자가 숫자, 서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
  4. 문장 부호 (.,!)

    • 사용자가 문장을 끝내고 싶을 때 문장 부호를 선택하면 부호에 맞는 종결 단어를 추천
  5. 문장 크게 만들기

    • 지금까지 만든 문장을 확대하여 픽토그램과 같이 보여줌
  6. 지우기 및 초기화

    • 지우기 : 잘못 선택한 단어를 취소하여 기존 상태로 되돌림
    • 초기화 : 문장 초기화

제작 언어

  • Front-end : HTML, jQuery
  • Back-end : Flask
  • DB : sqlite3
  • Model : pytorch, transformers
  • 텍스트 전처리 : nltk, re
  • 기타 기능 : python

실행 방법

실행 파일 : app.py

cd '폴더 이름'

python app.py

About

No description, website, or topics provided.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

Languages

  • JavaScript 55.4%
  • HTML 21.9%
  • CSS 19.4%
  • Python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