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62 lines (59 loc) · 2.01 KB

3.1.1튜플.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62 lines (59 loc) · 2.01 KB

3.1.1 튜플

1.튜플의 특징
2.튜플에서 값 분리하기
3.튜플 메서드

튜플의 특징

  • 튜플은 1차원의 고정된 크기를 가지는 변경 불가능한 순차 자료형이다.
  • 튜플을 생성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쉼표로 구분된 값을 대입하는 것이다.
  • 튜플 내에 저장된 객체는 그 위치에서 바로 변경이 가능하다.
  • +연산자를 이용해서 튜플을 이어붙일 수 있다.
  • 튜플에 정수를 곱하면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튜플의 복사본이 반복되어 늘어난다.
tup = 4,5,6
입력 : tup
출력 : (4,5,6)

중첩된 튜플 정의하기

nested_tup = (4,5,6),(7,8)
입력 : nested_tup
출력 : ((4,5,6),(7,8))

튜플에서 값 분리하기

tup = (4,5,6)
a,b,c= tup
입력 : b
출력 : 5

파이썬에서 두 변수의 값을 쉽게 바꾸는 방법

a, b =1, 2
b, a = a, b
입력 : a
출력 : 2

튜플이나 리스트 순회할 때

seq = [(1, 2, 3), (4, 5, 6), (7, 8, 9)]
for a, b, c in seq:
   print('a={0}, b={1}, c={2}'.format(a, b, c))
출력 : a=1, b=2, c=3
       a=4, b=5, c=6
       a=7, b=8, c=9

함수의 시그니처에서 길이를 알 수 없는 긴 인자를 담기 위한 방법 : *rest

>>> values = 1, 2, 3, 4, 5
>>> a,b, *rest = values  # 불필요한 변수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_라고 사용하기도 함
>>> a,b
(1, 2)
>>> rest
[3, 4, 5]

튜플 메서드

count 메서드

>>> a=(1, 2, 2, 2, 3, 4, 2)
>>> a.count(2) #변수의 개.1 튜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