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eokguKim/GlitchCat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Latest commit

 

History

22 Commits
 
 
 
 
 
 
 
 
 
 

Repository files navigation

GlitchCat

License: MIT

glitchcat

GlitchCat은 스트리밍 서비스 "치지직" 스트리머를 위한 개인 챗봇입니다. 스트리머 본인의 부계정 등으로 간단한 챗봇을 돌려보세요!

사용 방법

  1. (리포지토리 복제 등의 경우) Python3.11.x 버전을 설치하고 cmd나 터미널에서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를 통해 요구 패키지들을 설치해 줍니다.
  2. 폴더 내의 uids.csv 파일(릴리즈 버전의 경우 저장되는 파일들은 모두 _internal 폴더에 있습니다) 2번째 줄부터 하나씩, 연결할 채널들의 UID를 입력해줍니다. (없는 경우 본 프로그램을 한 번 실행하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3. glitchcat.py 또는 릴리즈 버전의 경우 glitchcat.exe를 실행하면 크롬 브라우저에서 챗봇이 돌아갑니다. 로그인이 되었는데도 돌아가지 않는다면 네이버 메인 페이지로 이동하면 잠시 후 방송 채팅창으로 이동하며 돌아갑니다.
  4. 반드시 봇 계정이 채팅을 칠 수 있는 상태인지 확인해 주세요.
  5. 스트리머, 채널 관리자, 채팅 운영자는 !추가 (명령어) (내용)으로 명령어 추가를, !삭제 (명령어) (내용)으로 명령어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 그 외의 명령어는 모두가 사용 가능합니다.
  6. 스트리머, 채널 관리자는 !방제 (방송제목)으로 방제 변경을, !게임 (게임이름)으로 게임 카테고리 변경을 할 수 있습니다.
  7. 시험적으로 스트리머, 채널 관리자는 !밴 (닉네임 또는 UID)로 특정 시청자 밴이 가능합니다.
  8. 실행 중 콘솔 창에 q (UID)를 입력하면 해당 UID의 채널과의 연결이 종료되며, qa를 입력하면 모든 프로그램이 종료됩니다.
  9. 명령어나 자동 로그인은 UID마다 생성되는 ``chzzk_auth_(UID).csvcommands_(UID).csv`를 통해 직접 편집하셔도 됩니다. 다만 이 경우 재시작이 필요합니다.

주의사항

  • 봇으로 사용할 계정의 경우 미리 대상으로 하는 방송 채팅창에서 채팅을 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실명 인증이나 규칙 확인 등을 미리 진행해 주세요.
  • 약 5초에 1번씩 프로그램이 연결된 크롬 브라우저를 확인하며 명령어 실행 여부를 결정합니다. 크롬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크롬 창을 닫지 마세요!
  • 잘못된 입력값이나 오동작이 있을때 종료됩니다. 에러 로그를 개발자에게 전달해 주시면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Contact

rokja9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