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bareun-nlp/korean-ambiguity-data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Latest commit

 

History

5 Commits
 
 
 
 
 
 
 
 
 
 
 
 

Repository files navigation

1. 한국어 중의성해소 평가 데이터세트

바른팀에서 구축한 한국어 중의성해소 평가 데이터세트를 소개합니다.
중의성 단어란 서로 다른 문장에서 어절의 표면형이 같고, 의미가 다른 어절을 가리킵니다.
'동음이의어'보다는 넓은 개념으로 용언과 체언의 활용 형태와 곡용 형태까지 포함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의성을 해소하는 것은 단어 의미 명확화(Word Sense Disambiguation, WSD)라고도 불리며, 자연어 처리의 분야의 오랜 문제입니다.

  • 예를 들어, "용인", "트는"의 경우의 다음과 같은 의미 차이가 있습니다.

    > 전설속의 용인 이무기의:
       [('용', 'NNG'), ('이', 'VCP'), ('ㄴ', 'ETM')]
    > 용인 제2 캠퍼스를 확대 운영:
       [('용인', 'NNG')]
    
    > 제가 좋아하는 곡을 트는 것이 원칙이지만:
       [('곡', 'NNG'), ('을', 'JKO'), ('틀', 'VV'), ('는', 'ETM')]
    > 동이 트는 아침 시각에:
       [('동', 'NNG'), ('이', 'JKS'), ('트', 'VV'), ('는', 'ETM')]
    

중의성해소 평가 데이터 구축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팀에서 모호한 단어의 태깅수정 및 검수과정을 거쳐 문장을 선별하였습니다.
평가 데이터의 단어들이 형태는 같고 의미가 다른 단어의 수가 비슷하도록 선별하였습니다.
표면형이 부족한 단어에 대해선 별도로 문장을 제작하였습니다.

  • 총 35,396 문장
  • 8,285개의 표면형(가, 가가, 가거나 ...)

아직 완성된 데이터가 아니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ull Request 해주시면 Bareun 담당자가 검토후 반영해드리겠습니다.
  • 오류 수정을 요청하시면 contributor 목록에 추가됩니다.

2. 중의성해소 평가 데이터세트가 필요한 이유

형태소 분석은 단어의 구성 요소를 올바르게 분해하는 과정입니다. 단어(어절)를 올바르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문장이 가진 문맥을 정확히 이해해야 하고 그 결과를 제대로 평가해야 합니다.
그동안 형태소 분석기의 평가 지표는 기존 학습 말뭉치의 일부를 평가 데이터로 활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학습 데이터, 검증 데이터, 평가 데이터 등).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형태소 분석기의 성능을 측정하면 자체적으로 98~99% 이상이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기계가 어려워 하는 것을 평가해야지만 성능의 개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객관적으로 형태소 분석기 성능을 신뢰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평가 데이터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따라서 추론 모델의 입장에서 분석해야할 같은 모양의 어절의 형태가 맥락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지는 것을 잘 추론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 참고 자료
    • 민지홍, 전준우, 송광호, 김유성(2017), 한국어에 대한 양방향 순환 신경망을 이용한 동형이의어 중의성 해소 연구, 컴퓨터정보논문지, 22-4, 41-49.
    • 강상우(2017), 반복적 기법을 사용한 그래프 기반 단어 중의성 해소,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13-2, 102-110.
    • D. Yuan, J. Richardson, R. Doherty, C. Evans & E. Altendorf, “Word Sense Disambiguation with Neural Language Models”, arXivpreprint arXiv:1603.07012,
    • https://bab2min.tistory.com/672

평가 결과

Image description

3. 설치하기

  •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중의성 평가 데이터 json파일 생성합니다.
  • 위에서 테스트한 결과를 직접 구현해볼 수 있습니다.
  • 비교할 형태소 분석기 모델(bareun, konlpy, kiwi, khaiii, mecab)을 설치합니다.
  • Ubuntu OS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git repository 복사

  • 저장소를 local에 복사합니다.
git clone https://github.com/bareun-nlp/korean-ambiguity-data.git

가상환경 설정

python3 -m venv venv
source venv/bin/activate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

pip install --upgrade pip
pip install bareunpy konlpy kiwipiepy urllib3 tqdm

데이터세트 json파일 생성

  • data 폴더에 있는 각각의 json파일을 하나의 json 파일로 변환합니다.
python3 src/make_all_to_one_json.py

4. 평가해보기

다른 형태소 분석기 설치

mecab 설치

sudo apt-get install curl git
bash <(curl -s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onlpy/konlpy/master/scripts/mecab.sh)

khaiii 설치

각 단계별 터미널에 명령어 실행

  1. clone
  git clone https://github.com/kakao/khaiii.git
  1. build
  • 디렉토리 이동 및 생성, cmake 실행
  cd khaiii
  mkdir build
  cd build
  cmake ..
  make all
  make resource
  1. testing
  • 아래와 같이 khaiii를 실행하고, 테스트 문구 입력
 ./bin/khaiii --rsc-dir=./share/khaiii
 바른 형태소 분석기를 사용해보세요
  • test 코드 입력
 ctest
  1. connect python
  make package_python
  cd package_python
  pip install  . 

평가 실행

  • 전체 모델 평가 실행
    • Bareun 모델과 Etri(한국전자통신정보원)모델은 별도의 api-key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 Bareun 형태소 분석기는 https://bareun.ai/ 에서 회원가입 후 api-key를 발급 받으면 됩니다.
    • Etri api-key는 https://aiopen.etri.re.kr/keyMain 에서 회원가입 후 받아 주시길 바랍니다.
cd <root of repository>
python3 src/ambiguate_test_models.py -p data -o output/errors -t bareun,kiwi,khaiii,etri,mecab,komoran,hannanum,kkma -bareun your-bareun-api-key -etri your-etri-api-key
  • 아직 키를 받지 않은 경우 아래와 같이 다른 모델을 먼저 분석해볼 수 있습니다.
python3 src/ambiguate_test_models.py -p data -o output/errors -t kiwi,khaiii,mecab,komoran,hannanum,kkma

인용하기

  • 아래의 DOI 또는 BibTeX를 통해 인용해주세요.

    • DOI: DOI
    • BibTeX:
@misc{korean-ambiguity-dataset,
author = {Bareun Team},
title = {Korean Morpheme Disambiguation Evaluation Dataset},
year = {2023},
month = {03},
version = {v1.0},
doi = {https://doi.org/10.5281/zenodo.7765445},
journal = {GitHub repository},
note = {\url{https://github.com/bareun-nlp/korean-ambiguity-data}}
}
  • Cite as
Bareun Team. (2023). Korean Morpheme Disambiguation Evaluation Dataset (v1.0) [Data set]. Zenodo. https://doi.org/10.5281/zenodo.7765445

About

한국어 중의성 해소 평가 데이터 세트

Resources

License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

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