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Permalink
Merge pull request #98 from x86kernel/master
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
리눅스 문서 수정/업데이트, 특기병 문서 업데이트
  • Loading branch information
benjioh5 committed Feb 9, 2017
2 parents c635638 + 1960fec commit a35ce56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Showing 3 changed files with 53 additions and 13 deletions.
22 changes: 22 additions & 0 deletions 리눅스/README.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6,3 +6,25 @@
또한 이 커널을 이용한 모든 운영체제를 지칭하여 리눅스 라고도 한다. 리눅스 커널은 오픈소스 프로젝트 이고, 공식 페이지는 [이곳](http://kernel.org) 이다. 오픈소스 프로젝트 인만큼 전세계 많은 개발자들이 리눅스 커널의 업데이트에 기여 하고 있다.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진 운영체제를 리눅스 배포판이라고 한다. 현재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만들어진 200여 종이 넘는 리눅스 배포판이 존재하며, 안드로이드 또한 리눅스 배포판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다. [여기](https://distrowatch.com/) 에서 각 배포판들의 순위를 확인 할 수도 있다.

## 라이선스

리눅스는 GPLv2 (GNU General Public License 의 버전2) 라는 라이선스를 아래에서 개발되고, 배포 되어진다. 따라서, 소스코드가 공개되며, 개발자가 필요에 맞게 소스코드를 수정 하는 것이 가능하다.

## 윈도우와 다른점

### 실행 파일 구조

리눅스는 ELF (Executable and Linkable Format) 라는 실행 파일 구조를 사용하는 반면, 윈도우는 PE (Portable Executable) 구조를 이용 한다. 두 실행 파일 구조는 호환이 안되므로, 당연히 윈도우 프로그램을 리눅스에서 실행 시키거나, 반대의 경우도 할 수 없다.

물론 아예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며, 리눅스의 경우 윈도우 API 를 에뮬레이팅 시켜주는 [wine](https://www.winehq.org/) 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가능하다.

## 리눅스 배포판

### 아치리눅스 (Archlinux)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한 롤링 릴리즈 (Rolling release) 방식의 리눅스 배포판이다. 공식 페이지는 [이곳](https://www.archlinux.org/) 이다. 현재 지원 아키텍쳐는 i686 과 x86_64 를 지원 하고 있지만 i686 의 경우 곧 지원이 [중단](https://www.archlinux.org/news/phasing-out-i686-support/) 될 예정이다.

아치 리눅스의 슬로건이 Keep It Simple 인 만큼, 설치 부터 세팅까지 손수 CLI 환경에서 사용자가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점은 매우 귀찮은 부분이 될 수 도 있지만, 커스터마이징을 좋아하는 유저들이나, 리눅스를 전반적으로 익혀볼 유저들에게는 좋은 이점으로 작용 될 수 있다.

pacman 이라는 공식 저장소를 사용하는 패키지 관리자가 있고, 써드파티 저장소라고 볼 수 있는 [AUR](https://aur.archlinux.org/) 를 이용 할 수 있는 yaourt 라는 패키지 관리자가 있다.
7 changes: 0 additions & 7 deletions 리눅스/아치리눅스.md

This file was deleted.

37 changes: 31 additions & 6 deletions 병역/특기병.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11 +1,36 @@
(작성 중)
# 정보보호병

# 정보보안병
주특기 번호는 175104 이며, 컴퓨터 정보보호와 관련임무를 수행하는 특기이다.
모든 모집병과 마찬가지로 훈련소는 논산에 육군훈련소 입소하게 되며, 훈련소에서 기초 군사교육을 마친 뒤에는 후반기 교육을 받게된다.

참고 : http://www.mma.go.kr/contents.do?mc=mma0000516
후반기 교육이 끝날때 쯤 자대 배치 결과가 나오게 되는데, 이때가 남은 군생활을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가 된다.
원래 정보보호병은 군단급(규모가 큰) 이상 부대로 배치가 되었지만, 어느순간부터 사단(규모가 더 적은)급 이상 부대로 확대 되었다. 이 사실은 [병무청 홈페이지](http://www.mma.go.kr/contents.do?mc=mma0000516) 에서 또한 언급이 된다.

# 소프트웨어개발병
즉, 똑같이 정보보호병으로 입대를 했다 하더라도, 운이 좋지 않으면 전방 사단에 배치되어 정보보호와는 아주 다른 일을 하게 될 수도 있다. (~~삽질?~~)

http://insukcho.blogspot.kr/2014/06/sw-sw.html
# 소프트웨어 개발병

http://insukcho.blogspot.kr/2014/08/sw-sw-part-2.html
> 이 글에는 편집자의 경험이 포함 되어 있고, 일부 문제가 될 수 있는 내용은 검열 되었습니다.
주특기 번호는 175105 이며,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임무를 수행하는 특기이다.

인터넷에 검색해서 나오는 소프트웨어 개발병에 관한 내용은 전부 신빙성이 없다. 왜냐하면 대다수가 설명하는 소프트웨어 개발병은 지금은 사라진 소프트웨어 운용병에 대한 특기를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ex)
- http://insukcho.blogspot.kr/2014/06/sw-sw.html
- http://insukcho.blogspot.kr/2014/08/sw-sw-part-2.html

자신이 군생활을 남들과 다르게 특별하게 하고싶고 병역의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개발능력을 유지 또는 업그레이드 하고 싶다면, 이 특기로 입대하는것을 적극 추천한다.

## 선발과정

소프트웨어 개발병으로 지원하려면, 병무청 홈페이지에 나오는 모집공고를 잘 살펴야 한다. 보통 반년에 한번 모집공고가 올라갔다가, 전부 선발이 되면 글을 지우기 때문이다.
선발 과정은 크게 서류 전형과, 면접 전형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경쟁률이 매우 쌘편이다. (편집자가 면접에서 만난 사람들중 2~3 번 떨어진 사람들 또한 있었다.)

## 군생활?

모든 모집병과 마찬가지로 훈련소는 논산에 육군훈련소로 입소하게 되며, 다른 특기 모집병과 다르게 __후반기가 없다.__
육군훈련소에서 기초 군사훈련을 받은 모든 소프트웨어 개발병은 전부 동일한 부대로 배치되게 되는데, 여기가 어딘지는 언급 할 수가 없다.

자대에 가게 되면, 개발병은 물론 어학병, 정보보호병 등 다른 특기병들과 같이 군생활을 하게 되므로 본인에게 매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개발 환경또한 아주 좋은 편이다. 있을 거 다 있고, 밖에서 하던 거의 비슷하게 개발 할 수 있는 환경이 구성 되어있다.

0 comments on commit a35ce56

Please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