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20 12 08

hansanguk0222 edited this page Dec 9, 2020 · 1 revision

2020-12-08 데일리 스크럼

순원

어제 한일

  • 이모지 백엔드 api 구현
  • 쓰레드에 있는 이모지 데이터 화면에 띄워주기, hover시 tooltip 보여주기

이슈

  • 병원을 가신다.

현준

어제 한일

  • 소켓 컨벤션 정의
  • 룸 접속, 나가기 구현
  • 채널 접속시 최대 하단 구현
  • api 오류 수정
  • 사가에서 try-catch 안된거 수정
  • axios timeout

이슈

상욱

어제 한일

  • dm방 만들어서 참가하는 것
  • 리펙토링

이슈

  • dispatch가 정확히 실행되는 시점이 궁금하다.

오늘 할일

순원

  • 이모지 소켓 달고 툴팁에 자기 자신은 display_name이 아닌 you로 뜨도록.

현준

  • create thread url -> insert할 때 url로
  • 맨 처음에 스레드 안띄울때 input box 안보이게하기
  • 디자인 적용하기

상욱

  • 채널 동작 구현

질문

  • axios timeout의 적정시간?

    • 네트워크 최악의 case 고려
    • 인터넷이 느린 환경에서 얼마나 걸릴지
    • network에서 slow 3g 같이 낮은 속도로 두고 테스트 해볼것
    • 보통 10s
    • 이미지 로딩 대응 등의 처리
  • 이미지 처리하는 방식

    • 작은 이미지 불러왔다가, 점점 고화질 이미지 가져오도록
    • 보여질땐 작은 이미지 쓰고, 클릭해서 할때는 고화질을 가져오도록
    • 네이버나 라인은 임시 이미지를 cdn에 올리고, 원본을 올리면 썸네일이 자동 생성된다.
    • 일반적인 중소규모 회사에서는 이미지를 요청하는 타임에 썸네일을 생성 << 람다의 용도
    • 썸네일 생성은 자주 발생되는게 아니기 때문에, 썸네일 생성하는 서버를 띄워놓는다는것 자체가 낭비일 수 있다.
  • like sql injection 처리?

    • 해결
    • 🚨 쿼리 날릴때 어떻게 보내지는지 로그를 꼭 찍어볼것.
  • 이모지 두는거 SWR? 써보는게 좋을까요? 실무에서는 얼마나 쓰나요? React Query라는것도 있던데

    • 결국 swr이나 리액트 쿼리도 별도의 api 상태를 갖는데 이렇게 되면 결국 상태 관리르 하는게 두개가 된다.
    • 개발하는 입장에서 상태 관리를 두 개로 하면 상대방이 헷깔리게 된다.(어디서 리액트 쿼리나 swr을 쓰고 redux를 사용하는지 상대방은 곤란을 겪는다.)
    • 처음 페이지를 들어 갔을 때 이모지의 정보를 한 번 따온다. 그런 다음에 이모지를 스토어의 넣어놓고 한 번 저장한 상태를 쭉 저장한다.
    • 폴링도 괜찮다.(실시간성이 굳이 보장될 필요가 없으니까)
    • 간단히 생각해보면 내가 올린 데이터를 바로 사용할 때는 새로고침을 바로 해줘라
    • 실제로 써봐서 장단점을 느껴보는게 좋다.
    • 각각 라이브러리, 기술들의 철학을 알면 도움이 된다.
  • 기본기... 😂

    • 내부적으로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는지. (ex> 클로저)
    • prototype.
    • DB, OS, 자료구조, 네트워크
  • 책 추천?

    • you don't know js
    • 네이버 D2같은 기술 블로그
    • MDN
  • 문서는 얼마나 읽어야 되나요?

    • 일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 계속 문서와 개발을 병행하며 보완해나가는 식으로 진행해도 괜찮다
    • 내가 실수한걸 발견했을때 그걸 수정하려고 노력하는것이 필요
  • 기술적으로 고민한 내용들을 위주로 발표를 하면 좋을듯

    • 데모는 간단하게.
Clone this wiki lo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