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낙동강 유역 중 태화강 유역 모형 구축 관련 문의 사항 #12

Open
yschoi51 opened this issue Nov 27, 2018 · 0 comments
Open

Comments

@yschoi51
Copy link
Collaborator

yschoi51 commented Nov 27, 2018

이 내용은 이메일 문의 사항을 여기로 옮겨 둔 것입니다.

낙동강 유역구축 된 파일을 통해 태화강 유역만 추출하여 유출량 분석 및 보정을 실시해보려하는데 문제가 있어 문의드립니다.

Q1. 수자원단위지도의 대권역 및 중권역 단위로 태화강 유역이 있는데, 이 폴리곤을 통해 박사님이 보내주신 watershed를 자르면 끝 부분에서 박사님이 구축하신 유역경계과 약간의 차이를 보입니다. 하여 제가 생각한 방법으로는 dem cell edit으로 수정하여 작업을 진행하면 되는 것인지?

A1. 보통 유역 데이터를 구축할 경우에는 유역 폴리곤으로 클리핑하지 않고, 유역 영역을 여유있게 포함하는 사각형 영역으로 자료를 클리핑 해서 사용합니다.
태화강 영역만 테이터를 살리고, 그외의 영역은 제거하려면

  1. 낙동강 영역 데이터 세트(DEM, 유역경계, FD, FA, Slope, Stream 등의 파일들)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태화강 유역 수자원단위지도 폴리곤으로 클립하지 말고, 태화강 유역을 포함하는 사각형 폴리곤 (혹은 래스터)로 각 파일들을 클리핑한 후에
    Watershed.asc에서 태화강 유역 바깥쪽의 셀을 -9999로 바꾸어 주면 됨. 끝.
    DEM Cell Edit로 자료를 만들 경우에는 모든 파일의 정보(FD, FA, Stream, slope, 유역 영역 등)가 맞게 모든 파일을 수정해 줘야함.
  2. 낙동강 영역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지 않고, 새로 구축할 경우에는
    태화강 유역 수자원단위지도 폴리곤으로 클립하지 말고, 태화강 유역을 포함하는 사각형 폴리곤 (혹은 래스터)로 DEM 파일을 클리핑한 후에
    Drainage Tool로 유역 공간 분석 후 원하는 영역이 제대로 구축되었는지 확인, 보완 후 사용하면 됨.

Q2. 태화강유역의 폴리곤으로 clip 처리하고 dem cell edit을 통해 유역을 구축할 수 있지만 유역 외 주변 값들이 -9999 값이 생기는데, 이런 부분은 어떻게 처리를 해야하는지?
후에 격자 단위 강우자료를 사용할때 저런 부분들에도 강우량 값이 들어가야되는지? 유역 외 픽셀은 아예 no data로 만들어야되는건지?

A2.

  1. GRM은 유역 영역 파일(예를 들어, watershed.asc)에서 셀 값이 0보다 큰 영역만 유출계산을 하고, 이 영역의 자료만 제대로 들어가 있으면 됨
    유역 영역 파일에서 셀값이 0보다 크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는
    모든 입력 파일(유역, FA, FD, 강우, 토지피복 등등 모든 파일)에서 셀에는 어떤 값이 있던 아무 상관 없음
    (즉, 강우 ascii 파일에서 nodata로 설정할 필요 없음)
  2. 단, 사용되는 모든 asc 파일의 행열 개수는 유역 영역 파일에서의 행열 개수와 같아야 함

Q3. 격자 단위 강우를 입력하여 모형 구축 및 보정을 실시하려 하는데, 보통 레이더 자료 및 격자 단위 강우는 cell size 가 30x30으로 제공이 되는데, 저희가 사용하는 cell size는 500x500 인지라
강우 관련해서 자료를 따로 요청해야 하는건지 or 처리 작업 하는 방법이 있는지?

A3.

  1. 국토부 강우레이더 자료의 기본 공간해상도는 250m 이고, 수치예보자료 자료는 해상도가 더 낮은데..( ~km) 어떤 격자 강우가 30m 해상도를 가지는지요?
  2. 원시 강우자료의 해상도가 유역 자료의 해상도와 다를 경우에는
    유역자료를 강우자료에 맞추는 방법 (이 경우에는 30m 해상도로 태화강 유역을 다시 구축해야 겠지요..), 혹은
    강우자료를 유역자료에 맞추는 방법 (이 경우에는 강우자료를 500m 해상도로 리샘플링 해야 겠지요..)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30m 격자 강우면 상당히 고해상도 강우자료인데,
    이게 품질관리된 500m 해상도 강우자료로 배포되는 것이 있다면, 이것을 입수해서 사용하시는게 가장 좋을 듯...
    공인된 500m 해상도 강우자료가 없다면, 보통 연구자 자체적으로 스케일을 바꾸어서 사용하는데,
    방법은 범용 GIS 도구해서 모두 제공됩니다.(QGIS, ArcGIS, Tok 툴 등등)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None yet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No branches or pull requests

1 particip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