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ibit-team/hibit-frontend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Latest commit

 
 
 
 
 
 
 
 
 
 
 
 
 
 
 
 
 
 
 

Repository files navigation





예술 기반의 소셜 디스커버리 🎨 서비스

Linktree | Instagram | Wiki | Backend팀 Repository

Service Link

https://hibit-frontend.vercel.app


🪧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히빗은 예술(전시)기반의 소셜 디스커버리 서비스입니다.


🙆🏻‍♂️ 서비스 대상자

  1. 전시회를 가고싶지만 막상 혼자 가기가 두려운 사람.

  1. 예술에 대해 깊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친구를 만들고 싶은 사람.

  1. 전시도 보고 밥도 먹고 다양한 사람들과 친해지고 싶은 사람.


intro.mp4

🏷 기능 소개


🧷 기능 1: 소셜 로그인 - 간편하게 로그인할 수 있어요.

  • 자주 사용하는 소셜미디어 중 하나인 구글 계정으로 편리하게 로그인/회원가입을 할 수 있어요.
hibit-login-page

🧷 기능 2: 프로필 - 나만의 프로필을 작성하고, 상대방의 프로필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 유저는 매칭 시 필요한 프로필 정보( 닉네임,나이,사진 etc )를 입력할 수 있어요.
  • 상대방에게 노출되기를 희망하는 프로필 정보만 선택해서 공개할 수 있어 부담이 덜해요.
  • 타인의 프로필을 탐색할 수 있어요

🧷 기능 3: 매칭 모집글 탐색 - 참여하고 싶은 게시글을 탐색할 수 있어요

  • 검색창을 통해 원하는 전시회 명, 게시글 명만을 검색할 수 있어요.
  • 이번주 출발 전시, 좋아요 많은 모집글만을 필터링 한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
  • 원하는 모집글을 찾을 때 까지 더보기 버튼으로 탐색할 수 있어요
  • 게시글 모집 상태 변경을 통해 모집을 취소,완료 시킬 수 있어요.
hibit-board-page-only

🧷 기능 4: 매칭 - 본인이 원하는 상대방과 연결해줘요.

  • 모집자 & 신청자로서 댓글(대댓글)을 작성/수정/삭제하면서 쌍방향 소통할 수 있어요.

  • 원하는 상대방의 게시글,댓글에 실시간으로 좋아요를 표시할 수 있어요.

  • 모집자로서 게시글을 작성하고 , 댓글을 남긴 유저 중 함께 전시회를 가고 싶은 유저에게 초대장을 보낼 수 있어요. pc_other_profile_not_register_profile


🧷 기능 5: 알림 - 매칭 결과 및 댓글에 대한 답변을 받을 수 있어요.

  • 알림 목록에서 매칭 신청 결과, 좋아요한 유저 정보, 댓글/대댓글 메시지, 카카오톡 Open채팅 링크 등의 알림을 수신할 수 있어요.
hibit-alarm-page

🧷 기능 6: 신고 - 불건전한 내용을 신고할 수 있어요.

  • 유저가 댓글/대댓글/게시글을 신고할 수 있어요.

  • 신고 페이지에서는, 신고 종류를 선택한다 (ex: 광고성, 불건전한 등등) + 세부적인 내용 작성이 가능해요.

  • 신고가 접수되면, 관리자가 해당 신고 내용을 검토한다. 이후 신고내용이 타당하다면 회원 테이블(or 프로필 테이블)에 신고 횟수를 증가시켜줘요.

hibit-declaration



👩🏻‍🎨🧑🏻‍🎨 팀원 소개

Developer

박상준 심현준 최혜영 문준용
@sangjun-Park1208 @jake0319 @hyoung01 @devFancy
Client Client Server Server

극대화된 사용자 경험을 위해 끊임없이 소통하는 FE 개발자입니다. 📢

항상 효율적인 클라이언트 아키텍처 구조를 고민하고 섬세한 감각으로 UI/UX를 구현하는 개발자. 💫

도전과 경험을 즐기며 다양한 기회를 잡고 그 과정을 통해 성장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

문제를 해결한 것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걸 좋아합니다. ✍🏻

PM & Designer

🌟 재목 현정 민성(Designer)

협업 문화

스프린트 주기 - 1~2주

저희는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FE, B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기획자(김재목, 하현정), 디자이너(김민성), 개발자(FE - 박상준, 심현준 / BE - 최혜영, 문준용)

스프린트는 매주 대면/비대면으로 진행되며, 협업 도구로는 Jira, Confluence, Figma, Notion, Slack 을 활용했습니다. hibit-team-culture

Git flow 전략

hibit-git-flow

⚙️ 기술 스택

프론트엔드

hibit-frontend_stack1

Language | Javascript, Typescript

Library | React, Recoil , React-Query, Emotion, Framer-motion

Build | Webpack, Babel

CI/CD | Vercel

백엔드

hibit-backend_stack2

Language | Java 11

Framework | Spring 5.3.21 (Spring Boot 2.7.1, Spring MVC 5.3.1, Spring Data JPA 2.7.1)

Build Tool | Gradle 7.4.1

Test | Junit 5

Docs | Swagger

인프라

hibit_infra_stack3

Infra | AWS EC2, AWS RDS, AWS S3, Nginx

DB | H2, MySQL 8

CI/CD | Git, GitHub Action, Docker, Jenkins

About

예술, 전시회 기반의 소셜 디스커버리 서비스(FE)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

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