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atabase in Manufacture Logging System for CE Certificate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waterfogSW/MLSC-DB

Repository files navigation

Database in Manufacture Logging System for CE Certification

2021-2학기 고급데이터베이스

Project Introduction

1. 프로젝트 개요

본 프로젝트에서는 장비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토대로 출하 검사, 자재 성적서, 압력 검사 성적서 등의 서류 작성을 자동화 하여 CE 인증을 위한 기업의 부담을 낮추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설계 및 구축한다.

2. 회사 소개

KSM은 오랜 경험과 새로운 기술을 바탕으로 웨이브 솔더링 장비 및 질소발생기를 제작 공급하고 있다. 2010년부터 플랜트 사업부를 신설하여 콘베어 및 도장설비, 코팅설비 및 산업 기계 분야에 있어 최고의 기술력을 가지고 높은 품질로 국내외 업체에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 웨이브 솔더링 : KSM의 가장 대표적인 장비로서 양산에 특화된 모델. 용융된 납이 펌핑되며 웨이브를 형성하고 그 위로 PCB가 지나가며 자동 납땜하는 장비
  • 질소발생기 : 컴프레셔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필터링되어 순수한 질소를 공급하는 PSA장치.

3.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DB 개발 필요성

KSM의 대표적인 생산 장비인 질소 발생기 판매를 위해 각국의 인증마크를 받아 판매를 진행한다.

국내에서 유통 및 판매를 위해서는 KC(한국 산업 보건 공단)인증을 받아 마크를 부착하여야 한다. 또, 유럽에서 제품을 유통 및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 그 제품이 해당하는 EU 지침(Directive)에 적합하다는 것을 선언 및/또는 해당 인증기관(Notified Body)의 형식검사 등의 적합성 평가 방법을 거쳐 CE마크를 부여받아 부착하여야 한다.

KSM은 KC인증과, CE PED인증을 받아 제품판매를 진행한다. 압력용기에 대한 CE Marking을 PED라고 하며, 질소발생기의 경우 압력용기를 포함하고 있어 PED인증을 받아 제품을 공급한다.

KC인증의 경우 2년 주기로 제조 환경에 대한 인증을 받으면 되므로 부담이 크지 않다. 하지만 CE인증의 경우 용접사 인증, 제품인증, 생산 시스템 인증(출하검사, 육안검사, 자재성적서, 용접성적서, 압력검사 성적서, 제조 설비 목록, 관리 대장, 제조 물품 최근일정표) 등 생산과정에서의 각 제품에 대한 인증 검사서가 요구되기 때문에 이를 작성하기 위한 부담이 크다.

제품 생산과정에서 각 검사서에서 중복으로 작성되는 부분들이 있고, 전체 제춤 목록을 종합하여 작성해야 하는 검사서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들을 데이터 데이터 베이스화 하고 자동화 한다면 인증검사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것으로 보인다.

Work flow chart

image

Logical Data Model(ERD)

image

Physical Data Model(ERD)

image

About

Database in Manufacture Logging System for CE Certificate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Contributors 4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