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문: Data
- 번역자: Jhonghee Park
Go에는 메모리를 할당하는 두가지 기본 방식이 있는데, 내장(built-in) 함수인 new와 make이다. 서로 다른 일을 하고 다른 타입들에 적용되기 때문에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 규칙은 간단하다. new부터 살펴보자. 내장 함수로 메모리를 할당하지만 다른 언어에 존재하는 같은 이름의 기능과는 다르게 메모리를 초기화하지 않고, 단지 값을 제로화(zero) 한다. 다시 말하면, new(T)는 타입 T의 새로운 객체에 제로값이 저장된 공간(zeroed storage)을 할당하고 그 객체의 주소인, *T
값을 반환한다. Go의 용어로 얘기하자면, 새로 제로값으로 할당된 타입 T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반환하는 것이다.
new
를 통해 반환된 메모리는 제로값을 갖기 때문에, 굳이 초기화 과정이 없이도 사용된 타입의 제로값을 그대로 쓸 수 있도록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면 도움이 된다. 무슨 말이냐 하면 데이터 구조의 사용자가 new로 새 구조체를 만들고 바로 일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bytes.Buffer의 문서는 "Buffer의 제로값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텅빈 버퍼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유사하게, sync.Mutex도 명시된 constructor도 Init 메서드도 가지고 있지 않다. 대신, sync.Mutex의 제로값인 잠기지 않은 mutex로 정의되어 있다.
제로값의 유용함은 전이적인(transitive) 특성이 있다. 다음의 타입 선언을 검토해 보자.
type SyncedBuffer struct {
lock sync.Mutex
buffer bytes.Buffer
}
SyncedBuffer
타입의 값들은 메모리 할당이나 단순히 선언만 으로도 당장 사용할 준비가 된다. 아래 코드 단편에서는, p와 v가 뒤이은 조정이 없어도 모두 정확히 작동한다.
p := new(SyncedBuffer) // type *SyncedBuffer
var v SyncedBuffer // type SyncedBuffer
때로 제로값만으로는 충분치 않고 생성자(constructor)로 초기화해야 할 필요가 생기는데, 아래 예제는 os패키지에서 가지고 온 것이다.
func NewFile(fd int, name string) *File {
if fd < 0 {
return nil
}
f := new(File)
f.fd = fd
f.name = name
f.dirinfo = nil
f.nepipe = 0
return f
}
이 예제에는 불필요하게 반복된(boiler plate) 코드들이 많다. 합성 리터럴(composite literal)로 간소화할 수 있는데, 그 표현이 실행될 때마다 새로운 인스턴스를 만들어 낸다.
func NewFile(fd int, name string) *File {
if fd < 0 {
return nil
}
f := File{fd, name, nil, 0}
return &f
}
C와는 달리, 로컬 변수의 주소를 반환해도 아무 문제가 없음을 주목하라; 변수에 연결된 저장공간은 함수가 반환해도 살아 남는다. 실제로, 합성 리터럴의 주소를 취하는 표현은 매번 실행될 때마다 새로운 인스턴스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마지막 두 줄을 묶어 버릴 수 있다.
return &File{fd, name, nil, 0}
합성 리터럴의 필드들은 순서대로 배열되고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 하지만, 요소들에 레이블을 붙여 필드:값 식으로 명시적으로 짝을 만들면, 초기화는 순서에 관계 없이 나타날 수 있다. 입력되지 않은 요소들은 각자에 맞는 제로값을 갖는다. 그러므로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return &File{fd: fd, name: name}
제한적인 경우로, 만약 합성 리터럴이 전혀 필드를 갖지 않을 때는, 그 타입의 제로값을 생성한다. new(File)
은 &File{}
과 동일한 표현이다.
또 합성 리터럴은 arrays, slices, 와 maps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데, 필드 레이블로 인덱스와 맵의 키를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 아래 예제의 경우, Enone
, Eio
그리고 Einval
의 값에 상관없이, 서로 다르기만 하면 초기화가 작동한다.
a := [...]string {Enone: "no error", Eio: "Eio", Einval: "invalid argument"}
s := []string {Enone: "no error", Eio: "Eio", Einval: "invalid argument"}
m := map[int]string{Enone: "no error", Eio: "Eio", Einval: "invalid argument"}
다시 메모리 할당으로 돌아가자. 내장 함수인 make(T, args)는 new(T)와 다른 목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slices, maps, 그리고 channels에만 사용하고 (*T
가 아닌) 타입 T의 (제로값이 아닌) 초기화된 값을 반환한다. 이러한 차이가 있는 이유는 이 세 타입이 내부적으로 반드시 사용 전 초기화 되어야 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리키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slice는 세가지 항목의 기술항으로 (array내) 데이터를 가리키는 포인터, 크기, 그리고 용량를 가지며, 이 항목들이 초기화되기 전 까지, slice는 nil
이다. slices, maps, 그리고 channels에 대해, make는 내부 데이터 구조를 초기화하고 사용될 값을 준비한다. 예를 들면,
make([]int, 10, 100)
메모리에 크기가 100인 int 배열을 할당하고 그 배열의 처음 10개를 가리키는, 크기 10와 용량이 100인 slice 데이터 구조를 생성한다. (slice를 만들때 용량은 생략해도 된다. 자세한 내용은 slice 섹션을 보기 바란다.) 그에 반해, new([]int)
는 새로 할당되고, 제로값으로 채워진 slice 구조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반환하는데, 즉 nil
slice 값의 포인터인 것이다.
다음 예제들이 new와 make의 차이점을 잘 그리고 있다.
var p *[]int = new([]int) // slice 구조체를 할당한다; *p == nil; 거의 유용하지 않다
var v []int = make([]int, 100) // slice v는 이제 100개의 int를 갖는 배열을 참조한다
// 불필요하게 복잡한 경우:
var p *[]int = new([]int)
*p = make([]int, 100, 100)
// Go 언어다운 경우:
v := make([]int, 100)
make는 maps, slices 그리고 channels에만 적용되며 포인터를 반환하지 않음을 기억하라. 포인터를 얻고 싶으면 new를 사용해서 메모리를 할당하거나 변수의 주소를 명시적으로 취하라.
배열은 메모리의 레이아웃을 상세하게 계획하는데 유용하며 때로는 메모리 할당을 피하는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주로 다음 섹션의 주제인, slice의 재료로 쓰인다. 배열에 대해 짧게 설명함으로써 slice를 논할 수 있는 초석를 다져 보자.
Go와 C에서는 배열의 작동원리에 큰 차이가 있다. Go에서는,
- 배열은 값이다. 한 배열을 다른 배열에 할당(assign)할 때 모든 요소가 복사된다.
- 특히, 함수에 배열을 패스할 때, 함수는 포인터가 아닌 복사된 배열을 받는다.
- 배열의 크기는 타입의 한 부분이다. 타입 [10]int과 [20]int는 서로 다르다.
배열을 값(value)으로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지만 또한 비용이 큰 연산이 될 수도 있다; 만약 C와 같은 실행이나 효율성을 원한다면, 아래와 같이 배열 포인터를 보낼 수도 있다.
func Sum(a *[3]float64) (sum float64) {
for _, v := range *a {
sum += v
}
return
}
array := [...]float64{7.0, 8.5, 9.1}
x := Sum(&array) // 명시적인 주소 연산자(&)를 주목하라.
하지만 이런 스타일조차 Go언어 답지는 않다. 대신 slice를 사용하라.
Slice는 배열을 포장하므로써 데이터 시퀀스에 더 일반적이고, 강력하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변환 메스릭스와 같이 뚜렷한 차원(dimension)을 갖고 있는 항목들을 제외하고는, Go에서 거의 모든 배열 프로그래밍은 단순한 배열보다는 slice를 사용한다.
Slice는 내부의 배열을 가리키는 레퍼런스를 쥐고 있어, 만약에 다른 slice에 할당(assign)되어도, 둘 다 같은 배열을 가리킨다. 함수가 slice를 받아 그 요소에 변화를 주면 호출자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내부의 배열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함수에 보내는 것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Read 함수는 포인터와 카운터 대신, slice를 받아 들일 수 있다; slice내 length는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최대 한계치에 정해져 있다. 아래에 File타입의 Read 메서드의 시그너처가 있다.
func (f *File) Read(buf []byte) (n int, err error)
메서드는 읽은 바이트의 수와 생길 수도 있는 에러 값을 반환한다. 아래 예제에서는, 더 큰 버퍼 buf의 첫 32 바이트를 읽어 들이기 위해 그 버퍼를 슬라이스했다(여기에서는 slice를 동사로 썼다).
n, err := f.Read(buf[0:32])
그런 슬라이싱은 흔히 사용되고 효율적이다. 사실, 효율성을 잠시 보류하자면, 아래 예제도 역시 버퍼의 첫 32 바이트를 읽는다.
var n int
var err error
for i := 0; i < 32; i++ {
nbytes, e := f.Read(buf[i:i+1]) // Read one byte.
if nbytes == 0 || e != nil {
err = e
break
}
n += nbytes
}
slice의 길이는 내부배열의 한계내에서는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그냥 slice 차체에 할당(assign)하면 된다. slice의 용량은, 내장함수 cap
을 통해 얻을 수 있는데, slice가 가질 수 있는 최대 크기를 보고한다. 아래를 보면 slice에 데이터를 부착(append)할 수 있는 함수가 있다. 만약 데이터가 용량을 초과하면, slice의 메모리는 재할당된다. 결과물인 slice는 반환된다. 이 함수는 len
과 cap
이 nil
slice에 합법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0을 반환하는 사실을 이용하고 있다.
func Append(slice, data []byte) []byte {
l := len(slice)
if l + len(data) > cap(slice) { // 재할당의 경우
// 미래의 성장폭을 위해, 필요한 양의 두배를 할당하라.
newSlice := make([]byte, (l+len(data))*2)
// copy 함수는 사전에 선언되어 있고 어떤 slice 타입에도 사용될 수 있다.
copy(newSlice, slice)
slice = newSlice
}
slice = slice[0:l+len(data)]
copy(slice[1:], data)
return slice
}
slice는 꼭 처리후 반환되어야 한다. Append가 slice
의 요소들을 변경할 수 있지만, slice 자체(포인터, 크기, 용량을 갖고 있는 런타임 데이터 구조)는 값으로 패스되었기 때문이다.
Slice에 부착(append)한다는 생각은 매우 유용하기 때문에 내장함수 append로 만들어져 있다. 이 함수의 설계를 이해하려면 정보가 좀 더 필요함으로 나중에 다시 얘기하기로 하겠다.
Go의 배열과 slice는 일차원적이다. 이차원의 배열이나 slice와 동일한 것을 만들려면, 배열의 배열 혹은 slice의 slice을 다음과 같이 정의해야 한다:
type Transform [3][3]float64 // A 3x3 array, really an array of arrays.
type LinesOfText [][]byte // A slice of byte slices.
Slice는 크기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의 slice들은 크기가 각자 다를 수 있다. 다음의 LinesOfText 예와 같이 흔히 일어 날 수 있는 일이다: 각 줄은 독립적으로 다른 크기를 가지고 있다.
text := LinesOfText{
[]byte("Now is the time"),
[]byte("for all good gophers"),
[]byte("to bring some fun to the party."),
}
때로 이차원의 slice를 메모리에 할당할 필요가 생기는데, 예를 들면 픽셀로 된 줄들은 스캔하는 상황이다. 두 가지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데, 첫번째는 각 slice를 독립적으로 할당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slice 하나를 할당하고 각 slice로 자른 다음 포인터를 주는 방식이다. 어느 것을 쓸지는 애플리케이션에 달렸다. 만약 slice가 자라거나 줄어들 수 있다면, 독립적으로 할당해서 다음 줄을 덮어쓰는 일을 방지해야 하고; 그렇지 않다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메모리 할당을 한번에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참고로, 여기 두 방식을 스케치해 보았다. 우선, 한번에 한줄씩:
// 최상위 레벨의 slice를 할당하라.
picture := make([][]uint8, YSize) // 유닛 y마다 한 줄씩.
// 각 줄을 반복하면서 slice를 할당하라.
for i := range picture {
picture[i] = make([]uint8, XSize)
}
그리고 이제 한번의 메모리 할당으로, 잘라서 줄을 만드는 경우:
// 위에서 한 것처럼, 최상위 레벨의 배열을 할당하라.
picture := make([][]uint8, YSize) // 유닛 y마다 한 줄씩.
// 모든 픽셀들을 담을 수 있는 큰 slice를 할당하라.
pixels := make([]uint8, XSize*YSize) // picture는 [][]uint8 타입이지만 pixels는 []uint8 타입.
// 각 줄을 반복하면서, 남겨진 pixels slice의 처음부터 크기대로 슬라이싱하라.
for i := range picture {
picture[i], pixels = pixels[:XSize], pixels[XSize:]
}
Map은 편리하고 강력한 내장 데이타 구조로 한 타입의 값들(the key)을 다른 타입(element 또는 value)의 값들에 연결해준다. Key는 equality연산이 정의되어 있는 어떤 타입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integers, floating point, 복소수(complex numbers), strings, 포인터(pointers), 인터페이스(equality를 지원하는 동적 타입에 한해서), structs 그리고 배열(arrays)이 그러한 예이다. Slice는 map의 key로 사용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equality가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Slice와 마찬가지로 map 역시 내부 데이터 구조를 가진다. 함수에 map을 입력하고 map의 내용물을 변경하면, 그 변화는 호출자에게도 보인다.
Map 또한 콜론으로 분리된 key-value 짝을 이용한 합성 리터럴로 생성될 수 있으며, 초기화중에 쉽게 만들 수 있다.
var timeZone = map[string]int{
"UTC": 0*60*60,
"EST": -5*60*60,
"CST": -6*60*60,
"MST": -7*60*60,
"PST": -8*60*60,
}
Map에 값을 할당(assign)하거나 추출(fetch)하는 문법은, 인덱스가 integer일 필요가 없다는 것외에는 배열과 slice과 거의 동일하다.
offset := timeZone["EST"]
Map에 없는 key를 가지고 값을 추출하려는 시도는 요소 값의 타입에 해당하는 제로값을 반환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map이 integer를 가지고 있으면, 존재하지 않는 key에 대한 조회는 0을 반환한다. bool 타입의 값을 가진 map으로 set을 구현할 수 있다. map의 엔트리를 true
로 저장함으로써 set안에 값을 집어 넣을 수 있고, 간단히 인덱싱을 통해 검사해 볼 수 있다.
attended := map[string]bool{
"Ann": true,
"Joe": true,
...
}
if attended[person] { // 만약 person이 맵에 없다면 false일 것이다.
fmt.Println(person, "was at the meeting")
}
때로는 부재값과 제로값을 구분할 필요도 있다. "UTC"에 대한 엔트리 값이 있는건지, 혹은 map이 전혀 아니기 때문에 값이 0은 아닌건지? 그것은 복수 할당(assign)의 형태로 구별할 수 있다.
var seconds int
var ok bool
seconds, ok = timeZone[tz]
분명한 이유들로 이것을 "comma ok" 관용구라고 부른다. 이 예제에서, 만약 tz가 있다면, seconds는 적절히 세팅될 것이고 ok는 true가 된다; 반면 없다면, seconds는 제로값이 되고 ok는 false가 된다. 여기 보기 좋은 에러 보고를 사용해 만든 함수의 예가 있다.
func offset(tz string) int {
if seconds, ok := timeZone[tz]; ok {
return seconds
}
log.Println("unknown time zone:", tz)
return 0
}
실제 값에 상관없이 map내 존재 여부를 검사하려면, 공백 식별자 (_
)를 값에 대한 변수가 있어야 할 자리에 놓으면 된다.
_, present := timeZone[tz]
Map의 엔트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내장 함수 delete을 쓰는데, map과 제거할 key를 인수로 쓴다. map에 key가 이미 부재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lete(timeZone, "PDT") // Now on Standard Time
Go에서 포맷된 출력은 C의 printf
와 유사하지만 더 기능이 풍부하고 일반적이다. 함수들은 fmt 패키지에 있고 대문자화된 이름을 가진다: [fmt.Printf](https://godoc.org/fmt#Printf)
, [fmt.Fprintf](https://godoc.org/fmt#Fprintf)
, [fmt.Sprintf](https://godoc.org/fmt#Sprintf)
, 기타 등등. 문자열 함수(Sprintf
, 기타등등)은 제공된 버퍼를 채우기 보다는 문자열을 반환한다.
You don't need to provide a format string. For each of Printf, Fprintf
and Sprintf
there is another pair of functions, for instance Print
and Println
. These functions do not take a format string but instead generate a default format for each argument. The Println
versions also insert a blank between arguments and append a newline to the output while the Print
versions add blanks only if the operand on neither side is a string. In this example each line produces the same output.
반드시 포맷 문자열을 제공할 필요는 없다. Printf
, Fprintf
그리고 Sprintf
에 대해 짝을 이루는 함수들이 있는데, 예를 들면 Print
와 Println
이다. 이 함수들은 포맷 문자열을 취하지 않는 대신 입력된 인수에 대해 이미 정해진 포맷을 발생시킨다. Println
버전들은 인수들 사이에 공백을 삽입하고 출력에 줄바꿈을 추가한다. 그런 반면 Print
버전들은 인수 양쪽이 다 문자열이 아닌 경우에만 공백을 삽입한다. 아래 예제에서 각 줄이 같은 출력을 만든다.
fmt.Printf("Hello %d\n", 23)
fmt.Fprint(os.Stdout, "Hello ", 23, "\n")
fmt.Println("Hello", 23)
fmt.Println(fmt.Sprint("Hello ", 23))
포맷된 출력 함수인 fmt.Fprint와 유사 함수들은 첫번째 인수로 io.Writ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를 취한다; 변수 os.Stdout
과 os.Stderr
가 친숙한 이러한 객체들의 예이다.
Here things start to diverge from C. First, the numeric formats such as %d do not take flags for signedness or size; instead, the printing routines use the type of the argument to decide these properties.
var x uint64 = 1<<64 - 1
fmt.Printf("%d %x; %d %x\n", x, x, int64(x), int64(x))
위의 예제는 다음과 같은 출력을 한다.
18446744073709551615 ffffffffffffffff; -1 -1
정수(integer)를 소수로 바꾸는 예와 같은 기본적인 변환을 원할 경우는, 다목적 용도 포맷인 %v(value라는 의미로)를 사용할 수 있다; 결과는 Print
와 Println
의 출력과 동일하다. 더우기, 그 포맷은 어떤 값이라도 출력할 수 있으며, 심지어 배열, slice, 그리고 map도 출력한다. 아래에는 이전 섹션에서 정의된 시간대 map을 위한 print문이 있다.
fmt.Printf("%v\n", timeZone) // or just fmt.Println(timeZone)
아래와 같이 출력을 제공한다.
map[CST:-21600 PST:-28800 EST:-18000 UTC:0 MST:-25200]
For maps the keys may be output in any order, of course. When printing a struct, the modified format %+v annotates the fields of the structure with their names, and for any value the alternate format %#v prints the value in full Go syntax.
물론, map의 경우 key들은 무작위로 출력될 수 있다. struct를 출력할 때는, 수정된 포맷인 %+v를 통해 구조체의 필드에 주석으로 이름을 달며, 대안 포맷인 %#v를 사용하면 어떤 값이든 완전한 Go 문법을 출력한다.
type T struct {
a int
b float64
c string
}
t := &T{ 7, -2.35, "abc\tdef" }
fmt.Printf("%v\n", t)
fmt.Printf("%+v\n", t)
fmt.Printf("%#v\n", t)
fmt.Printf("%#v\n", timeZone)
위의 예제는 다음과 같이 출력된다.
&{7 -2.35 abc def}
&{a:7 b:-2.35 c:abc def}
&main.T{a:7, b:-2.35, c:"abc\tdef"}
map[string] int{"CST":-21600, "PST":-28800, "EST":-18000, "UTC":0, "MST":-25200}
(엠퍼센트에 주목하라.) 인용 문자열 포맷은 %q를 이용해 string 타입이나 []byte 타입 값에 적용했을때 얻어진다. 대안 포맷인 %#q는 가능한 경우 backquote을 사용한다. (%q 포맷은 또 integer와 rune에 적용되어, single-quoted rune 상수를 만든다.) %x는 문자열, byte 배열, 그리고 byte slice와 integer에 작용하여 긴 16진수 문자열을 생성하는데, (% x) 포맷처럼 스페이스를 중간에 넣으면 (출력하는) byte사이에 공백을 넣어 준다.
또 다른 유용한 포맷은 %T로, 값의 타입을 출력한다.
fmt.Printf("%T\n", timeZone)
위의 예제는 다음과 같이 출력된다.
map[string] int
커스텀 타입의 기본 포맷을 조종하기 위해 해야할 것은 단지 String() string
의 시그너처를 갖는 메서드를 정의해 주는 것이다. (위에 정의된) 단순한 타입 T는 아래와 같은 포맷을 가질 수 있다.
func (t *T) String() string {
return fmt.Sprintf("%d/%g/%q", t.a, t.b, t.c)
}
fmt.Printf("%v\n", t)
다음과 같은 포맷으로 출력된다.
7/-2.35/"abc\tdef"
(만약 타입 T와 동시에 포인터 타입 T도 함께 출력할 필요가 있으면, String
의 리시버는 값 타입이러야 한다; 위에 예제에서 struct 타입에 포인터를 사용한 이유는 더 효율적이고 Go 언어다운 선택이기 때문이다. 더 상세한 정보는 다음의 링크를 참고하라: pointers vs. value receivers)
String 메서드가 Sprintf를 호출할 수 있는 이유는 print 루틴들의 재진입(reentrant)이 충분히 가능하고 예제와 같이 감싸도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방식에 대해 한가지 이해하고 넘어가야 하는 매우 중요한 디테일이 있는데: String 매서드를 만들면서 Sprintf를 호출할 때 다시 String 매서드로 영구히 재귀하는 방식은 안 된다는 것이다. Sprintf가 리시버를 string처럼 직접 출력하는 경우에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다시 같은 메서드를 호출하게 되고 말 것이다. 흔하고 쉽게 하는 실수로, 다음의 예제에서 살펴보자.
type MyString string
func (m MyString) String() string {
return fmt.Sprintf("MyString=%s", m) // 에러: 영원히 재귀할 것임.
}
이러한 실수는 또 쉽게 고칠 수도 있다: 인수를 기본적인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하면, 같은 메서드가 없기 때문이다.
type MyString string
func (m MyString) String() string {
return fmt.Sprintf("MyString=%s", string(m)) // OK: note conversion.
}
initialization section 섹션에 가면 이 같은 재귀호출을 피할 수 있는 다른 테크닉을 보게 될 것이다.
또 다른 출력 기법으로는 출력 루틴의 인수들을 직접 또 다른 유사한 루틴으로 대입하는 것이다. Printf
의 시그너처는 마지막 인수로 임의적인 숫자의 파라미터가 포맷 다음에 나타날 수 있음을 명시하기 위해 타입 ...interface{}
를 사용한다.
func Printf(format string, v ...interface{}) (n int, err error) {
Printf
함수내에, v는 []interface{}
타입의 변수 처럼 행동하지만 만약에 다른 가변 인수 함수(variadic function)에 대입되면, 보통의 인수리스트처럼 동작한다. 위에서 사용한 log.Println
의 구현이 아래에 있다. 실제로 포맷팅을 위해 fmt.Sprintln
함수에 직접 인수들을 대입하고 있다.
// Println 함수는 fmt.Println처럼 표준 로거에 출력한다.
func Println(v ...interface{}) {
std.Output(2, fmt.Sprintln(v...)) // Output 함수는 (int, string) 파라미터를 취한다.
}
Sprintln
을 부르는 중첩된 호출안에 v 다음에 오는 ...는 컴파일러에게 v를 인수 리스트로 취급하라고 말하는 것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v를 하나의 slice 인수로 대입한다.
여기에서 살펴 본 출력에 관한 내용보다 훨씬 많은 정보들이 있다. godoc
에 있는 fmt 패키지를 통해 상세하게 알아보라.
그나저나, ... 파라미터는 특정한 타입을 가질 수도 있는데, 예로 integer 리스트에서 최소값을 선택하는 함수인 min에 대한 ...int
를 살려보라:
func Min(a ...int) int {
min := int(^uint(0) >> 1) // largest int
for _, i := range a {
if i < min {
min = i
}
}
return min
}
이제 내장함수 append의 설계를 설명하는데 필요했지만 누락된 부분을 갖게 되었다. append의 시그너처는 위에서 만들어 본 Append 함수와 다르다. 도식적으로, 아래와 같다:
func append(slice []T, elements ...T) []T
여기서 T는 어떤 타입의 플레이스 홀더이다. 실제로 Go 언어에서는 호출자에 의해 결정되는 타입 T를 쓰는 함수를 만들 수 없다. 그래서 append는 내장함수 인 것이다: 컴파일러의 지원이 필요한 것이다.
append이 하는 일은 slice의 끝에 요소들을 붙이고 결과를 반환하는 것이다. 결과는 반환되어야 한다. 왜냐면, 손으로 쓴 Append와 같이, 내부의 배열은 변할 수 있다. 다음의 간단한 예를 보라.
x := []int{1,2,3}
x = append(x, 4, 5, 6)
fmt.Println(x)
이 예제는 [1 2 3 4 5 6]을 출력한다. append가 Printf
처럼 임의적인 숫자의 인수들을 모으며 작동하는 것이다.
그런데 만약 Append와 같이 slice에 slice를 붙이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쉬운 방법으로, 위에서 Output을 호출하면서 그랬듯이, 호출 지점에서 ...를 이용하는 것이다. 아래 예재 단편은 위와 동일한 결과를 산출한다.
x := []int{1,2,3}
y := []int{4,5,6}
x = append(x, y...)
fmt.Println(x)
...이 없다면 컴파일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타입이 틀리기 때문이다: y는 int 타입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