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urry And Compose (why you should be using something like ramda in your code)

KIM HAE YEON edited this page Nov 4, 2019 · 2 revisions

원문 : https://jsleao.wordpress.com/2015/02/22/curry-and-compose-why-you-should-be-using-something-like-ramda-in-your-code/

Curry And Compose (why you should be using something like ramda in your code)

원문: https://jsleao.wordpress.com/2015/02/22/curry-and-compose-why-you-should-be-using-something-like-ramda-in-your-code/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관해서는 주요 특징은 결합성, 기존 함수를 결합해야만 새로운 함수를 생성하는 것 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조건에서 참을 반환하는 함수를 사용하고 필터 함수와 결합하여 재사용하여 배열에서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바스크립트에서 다음과 같은 몇가지 기능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var isGreaterThan = function(limit) {
  return function(value) {
    return value > limit;
  };
};

이 예제에서는 다른 함수를 만드는 함수가 존재합니다. 첫번째는 단지 value, limit을 결합하는데 사실 비교가 발생하고, boolean을 반환하고 난 다음에 두번째를 반환합니다. 이 함수는 curry된 형태입니다. 즉, 하나의 단일 인자를 가져와서 값을 반환하는 함수 입니다. 값을 계산하기 위해 더 많은 인수가 필요한 경우 모든 함수가 전달될 때까지 다음 인수를 취하는 다른 함수를 반환합니다. 최종 결과가 계산되어집니다.

ES6의 화살표 함수 구문을 사용하면 훨씬 더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var isGreaterThan = (limit) => (value) => value > limit;

아직 ES6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나 개의 우수한 해결방법인 lodash’s _.curry을 사용하거나 ramda’s R.curry(HTTP처럼)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함수들이 하는 일은 여러 개의 인수 함수를 취하고 그것을 curry의 버젼을 반환하는 것입니다.

//Using ramda's curry
var isGreaterThan = R.curry(function(limit, value) {
    return value > limit;
});

이 마지막 형태의 예제 코드를 사용하면 여전히 두 가지 인수를 전달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작동합니다.

greaterThan(10)(20); //true
greaterThan(10, 20); //true
var greaterThanTen = greaterThan(10);
greaterThanTen(20); //true

curry 형태를 사용하면 팩토리 함수와 같은 것이 있으며 data를 전달 하고 결합에 사용할 함수를 받은 다음 값을 전달합니다. Hey Underscore, You’re Doing it Wrong 에서 처럼 데이터를 마지막으로 전달하고, 지원해야할 값을 먼저 전달 해야합니다.

필터 기능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locash에서는 collection을 첫번째 인수로 취한 다음, 두 번째로 필터링하는 함수를 사용합니다. 데이터를 먼저 전달하므로 아래에서 볼 수 있듯이 다른 기능을 작성하기 더 어렵습니다.

//Using lodash here. 
//We flip the order of the arguments in the filter
//function, passing the data last, and curry it.
var filter = _.curry(function(fn, collection) {
  return _.filter(collection, fn);
});

이제 더욱더 결합 가능한 필터 기능이 존재하고, 원하는대로 쉽게 더 함수를 결합할 수 있습니다.

var onlyPositives = filter(greaterThan(0));
onlyPositives([-1, 4, 2, -5]); // [4, 5]

이것은 핵심적인 함수 입니다. 이것이 바로 람다가 map 및 filter와 같은 기본 함수로 수행하는 작업입니다. 마지막 조치로는 데이터를 마지막으로 전달하고 함수를 사용하여 여러 함수를 결합한다는 사실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언더바, locash 및 람다는 그것을 가지고 있으며, 모두 비슷합니다. 많은 함수를 전달하고 한 함수의 결과를 다음 함수의 인수로 전달하고, 마지막 함수의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를 반환합니다. 오른쪽으로 왼쪽으로 ~

//read from bottom to top

//+ getFirstPositivePlusOne :: [Number] => Number
var getFirstPositivePlusOne = R.compose(
  R.add(1),                 // 4
  R.get(0),                 // 3
  filter(greaterThan(0))); // [3, 6]

  getFirstPositive([-2, -1, 3, 6]); // 4

데이터-마지막으로 curry된 함수를 compose와 결합하는 것만으로 훨씬 더 간결하고 합리적인 코드와 순수한 함수를 모두 작성할 수 있으며, 람다가 하는 기능, _와 lodash가 잘못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적절하게 curry된 몇 가지 기능을 제공하므로 point free way라고 불리는 이 방법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point free code는 다음과 같이 "glue"변수를 선언하지 않는 코드 입니다.

//lodash way
var onlyPositives = function(data){ //glue variable (data)
  return data.filter(function(item) {  //glue variable (item)
    return greaterThan(0, item);
  });
} 

//pointfree ramda way
var onlyPositivesPF = R.filter(greaterThan(0)); //no glue variables

코드에 전혀 문제가 없는 경우에도 이를 수행하면 상용구 코드의 많은 부분과 불필요한 변수를 대부분 제거하여 더 작고 간결한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결함이 있을 때 버그와 버그를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Clone this wiki lo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