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진 내용으로 빠르게 이용하거나 본인만의 설정으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npm i react-starter-cli
npx quick-react-env
git clone https://github.com/your-username/quick-react-env.git
cd quick-react-env
pnpm install
src/templates/shared/eslint.config.js
(Vite용)src/templates/shared/eslint.config.mjs
(Next.js용)
src/templates/prettier.ts
src/templates/husky.ts
src/templates/shared/.vscode/settings.json
src/templates/shared/.vscode/extensions.json
src/templates/shared/tsconfig.json
src/templates/shared/vite.config.ts
# 빌드
pnpm run build
# 로컬에서 테스트
node dist/index.js
# 전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하기 (한 번만 실행)
pnpm link
# 위치 상관없이 사용 가능
quick-react-env
# 전역 사용 해제
pnpm unlink
# 코드 수정 후 현재 프로젝트에서 빌드
pnpm run build
# 링크된 버전이 바로 반영되어 다른 곳에서 바로 사용 가능
quick-react-env
# 전역 패키지 목록에서 확인
pnpm list -g --depth=0
# 또는 직접 실행해서 확인
quick-react-env --help
- Vite
- Next.js
- TypeScript
- Tailwind CSS
- ESLint
- Prettier
- Husky
- pnpm
- npm
- yarn
my-app/
├── .husky/ # Husky Git 훅 (선택사항)
├── .vscode/
├── src/
│ ├── App.tsx
│ ├── main.tsx
│ ├── index.css
│ └── vite-env.d.ts
├── public/
│ └── vite.svg
├── .prettierrc # Prettier 설정 (선택사항)
├── index.html
├── vite.config.ts # Vite 설정
├── tsconfig.json # TypeScript 설정
├── tailwind.config.js # Tailwind CSS 설정
├── eslint.config.js # ESLint 설정 (선택사항)
└── package.json
my-app/
├── .husky/ # Husky Git 훅 (선택사항)
├── src/
│ └── app/
│ ├── layout.tsx
│ ├── page.tsx
│ └── globals.css
├── .eslintrc.json # ESLint 설정 (선택사항)
├── .prettierrc # Prettier 설정 (선택사항)
├── next.config.js # Next.js 설정
├── tsconfig.json # TypeScript 설정
├── tailwind.config.js # Tailwind CSS 설정
└── package.j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