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This repository has been archived by the owner on May 1, 2023. It is now read-only.

WebRTC를 선택한 이유

Heedong Kim edited this page Dec 31, 2021 · 2 revisions
  • updated at : 2021.12.31.
  • updated by : 희동

본 자료는 2021년 12월 30일 PM 02:00 진행된 Stove 강정은 팀장님의 세미나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미디어 서비스

  • 미디어 서비스는 크게 3가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1. VOD 서비스

  • 크리에이터가 플랫폼에 미리 영상을 업로드하고 소비자들이 해당 영상을 기기에 다운받지 않아도 영상을 재생하고 이용할 수는 서비스
  • Ex. Youtube, Netflix, Disney plus, etc.

2.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 흔히 BJ, 스트리머라고 불리는 사용자가 영상을 송출하면 1:N의 구조로 다른 사용자들이 접근하여 영상을 접근하는 서비스
  • Ex. Youtube Live, Twitch, Afreeca, etc.

3. 실시간 영상 채팅 서비스

  • 화상 회의 개념으로 사용자들이 N:M의 연결로 실시간으로 영상과 소리를 접근하는 서비스
  • Ex. Zoom, Google meet, P.pool, etc.

Discord

  • 우리의 주제는 discord다.
  • 위에서 정의한 3가지 서비스 분류 중에 우리의 서비스는 3. 실시간 영상 채팅 서비스에 속한다.
    • 음성 채널에 접속하면 해당 방에 접속한 사용자들은 N:M의 구조로 다자 간 영상 혹은 음성 채팅을 활용한다.
  • 그렇다면 실시간 영상 채팅 서비스에서 중요한 것은 뭘까?

실시간 영상 채팅 서비스

  • 실시간 영상 채팅 서비스에서 중요한 것은 낮은 지연 시간(latency)이다.
  • 화상 회의를 경험해보면 지연 시간이 크면 클수록 의사소통에 장애를 겪고 불편함을 얻게 된다.
  • 따라서 실시간 영상 채팅 서비스에서 중요한 것은 낮은 지연 시간이다.
    • latency가 2초 이상이면 불편함을 얻는다고 한다.
  • cf. 낮은 지연 시간이 주는 장점
    • Improving user experience
    • Enables interactivity
    • Enabling real time for emergency responders
    • Competing with broadcast television
    • Supports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 Synchronized video feed and chat or gambling
    • Allows for second-screen and multimedia experiences
    • Supports quick reactions in medical procedures

비디오 프로토콜 비교

media-comparison-1 media-comparison-2 media-comparison-3

  • latency가 2초 이상이면 사용자가 불편함을 얻을 수 있으니 그보다 낮은 지연시간을 갖는 걸 목표해야한다.
  • 따라서 latency가 낮은 프로토콜을 활용하자

cf.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