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HAPTER 3 설계 원칙 #3

@lee-ji-hoon

Description

@lee-ji-hoon

기말고사 이슈로 12월 말 진행 + 직장인 이슈로 1월중순...

생각해보기

1. 클래스 설계 외에 단일 책임 원칙을 적용할 수 있는 설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2. 확장할 때는 개방, 수정할 때는 폐쇄되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3. 리스코프 치환 원리의 중요성은 무엇인가?

4. AtomicIntegor 클래스에서 getAndIncrement 함수는 단일 책임 원칙과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을 준수했는가?

5. Notification 클래스에서 구현이 아닌 인터페이스 기반과 의존성 주입은 서로 유사하다. 그렇다면 이 두 가지의 차이점은?

6. 개발 과정에서 바퀴를 다시 발명하는 행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7. 코드의 논리의 중복, 기능적 중복, 코드 실행의 중복 외 또 어떤 형태의 코드 중복이 있을까? 그 코드 중복은 DRY 원칙을 위배하는가?

Metadata

Metadata

Assignees

No one assigned

    Labels

    No labels
    No labels

    Type

    No type

    Projects

    No projects

    Milestone

    No milestone

    Relationships

    None yet

    Development

    No branches or pull requests

    Issue 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