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erged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95 changes: 95 additions & 0 deletions alien-dictionary/yyyyyyyyyKim.py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95 @@
"""
LintCode 892. Alien Dictionary
https://www.lintcode.com/problem/892/
https://leetcode.com/problems/alien-dictionary/

summary:
외계인 단어 목록이 사전 순으로 정렬되어 있을 때,
단어 간의 비교를 통해 문자의 순서를 유추해 전체 외계인 알파벳 순서를 구하는 문제
"""
from typing import (
List,
)

class Solution:
"""
@param words: a list of words
@return: a string which is correct order
"""
def alien_order(self, words: List[str]) -> str:

# 무조건다시풀어볼것. 어려움어려움.
# DFS기반 후위순회(post-order) 위상 정렬
# 시간복잡도 O(N*L+V+E), 공간복잡도 O(V+E)
# V = 등장한 문자의 수(최대26개), E = 간선수(문자간순서), N = 단어수, L = 각 단어의 평균 길이

# 그래프 만들기(문자별 연결 정보)
graph = {}

# visited
# 0: 방문 안함
# 1: 방문 중(현재 탐색 중)
# 2: 방문 완료(사이클 없음 확인 완료)
visited = {}
answer = []

# 노드 초기화(모든 문자 그래프에 넣기)
for word in words:
for i in word:
if i not in graph: # 없으면 넣기(중복방지)
graph[i] = []

# 문자 간선 설정
for i in range(len(words)-1):
w1 = words[i]
w2 = words[i+1]
min_len = min(len(w1), len(w2))

# 앞단어가 뒷단어의 접두사인데 더 길면 잘못된 입력이므로 '' 반환
if w1[:min_len] == w2[:min_len] and len(w1) > len(w2):
return ''

for j in range(min_len):
c1 = w1[j]
c2 = w2[j]
# c1과 c2가 다른 문자이고 c1에 c2가 없으면 c1의 그래프에 c2 추가
if c1 != c2:
if c2 not in graph[c1]:
graph[c1].append(c2)
break

# 자식 노드가 여러 개일 경우, 사전순 탐색을 위해 자식 노드 정렬
for i in graph:
graph[i].sort()

# DFS 함수
def dfs(node):
# visited.get(node, 0) : 방문하지 않은 경우 기본값 0 반환
if visited.get(node, 0) == 1:
return False # 사이클 발생
if visited.get(node, 0) == 2:
return True # 방문 완료

# 방문 중 표시
visited[node] = 1

# 인접 노드(다음문자) 탐색
for i in graph[node]:
if not dfs(i):
return False

# 탐색 완료(방문 완료)
visited[node] = 2
answer.append(node)

return True

# 모든 노드 dfs 탐색
for i in graph:
if visited.get(i, 0) == 0:
if not dfs(i):
return '' # 사이클이면 잘못된 입력


# post-order니까 역순으로 반환
return ''.join(reversed(answer))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48 @@
"""
LeetCode 105. Construct Binary Tree from Preorder and Inorder Traversal
https://leetcode.com/problems/construct-binary-tree-from-preorder-and-inorder-traversal/

summary:
전위순회(preorder)와 중위순회(inorder)를 기반으로 이진트리 구성하기
"""
# Definition for a binary tree node.
# class TreeNode:
# def __init__(self, val=0, left=None, right=None):
# self.val = val
# self.left = left
# self.right = right
class Solution:
def buildTree(self, preorder: List[int], inorder: List[int]) -> Optional[TreeNode]:

# DFS
# 시간복잡도 O(n), 공간복잡도 최악O(n)/평균O(log n) (n = 노드수)
self.preorder_idx = 0 # preorder에 현재 위치 인덱스(처음값 = 루트노드값)

inorder_map = {} # inorder 값을 인덱스로 매핑(빠른 검색을 위해)
for i in range(len(inorder)):
inorder_map[inorder[i]] = i


def dfs(left: int, right:int) -> Optional[TreeNode]:
# 왼쪽인덱스가 오른쪽인덱스보다 크면(범위를벗어나면) 빈 서브트리 -> 종료
if left > right:
return None

# 현재 preorder에서 현재 루트 값 가져오고 한 칸 이동
root_val = preorder[self.preorder_idx]
self.preorder_idx += 1

# 루트 노드 생성
root = TreeNode(root_val)

# inorder에서 현재 루트 위치 찾기
i = inorder_map[root_val]

# 왼쪽, 오른쪽 서브트리 구성
root.left = dfs(left, i-1)
root.right = dfs(i+1, right)

return root

# 전체 inorder dfs 돌기
return dfs(0,len(inorder)-1)
36 changes: 36 additions & 0 deletions longest-palindromic-substring/yyyyyyyyyKim.py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36 @@
"""
LeetCode 5. Longest Palindromic Substring
https://leetcode.com/problems/longest-palindromic-substring/

summary:
주어진 문자열 s에서 "가장 긴 팰린드룸 부분 문자열"을 찾아 반환
"""

class Solution:
def longestPalindrome(self, s: str) -> str:

# DP (시간복잡도 O(n^2), 공간복잡도 O(n^2))
n = len(s)
dp = [[False]*n for _ in range(n)] # dp[i][j] = s[i..j]의 팰린드룸 여부 저장
answer = ''

# i = 부분 문자열의 길이(1부터 n까지)
for i in range(1,n+1):
# j = 부분 문자열의 시작 인덱스
for j in range(n - i + 1):
# 끝 인덱스 = 시작인덱스 + 길이 - 1
end = j + i -1
# 양 끝 문자가 같을 경우
if s[j] == s[end]:
# 길이가 3이하면 팰린드룸
if i <= 3:
dp[j][end] = True
# 양 끝이 같고 안쪽도 팰린드룸이면 전체도 팰린드룸
else:
dp[j][end] = dp[j+1][end-1]

# 현재 팰린드룸의 길이가 answer보다 길면 업데이트
if dp[j][end] and i > len(answer):
answer = s[j:end+1]

return answer
25 changes: 25 additions & 0 deletions rotate-image/yyyyyyyyyKim.py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25 @@
"""
LeetCode 48. Rotate Image
https://leetcode.com/problems/rotate-image/

summary:
n x n 행렬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in-place, 추가 공간없이 행렬 자체를 수정)
"""
class Solution:
def rotate(self, matrix: List[List[int]]) -> None:
"""
Do not return anything, modify matrix in-place instead.
"""
# 시간복잡도 O(n^2), 공간복잡도 O(1)

n = len(matrix)

# 행과 열 바꾸기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i+1, n):
matrix[i][j], matrix[j][i] = matrix[j][i], matrix[i][j]

# 행을 좌우반전하기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2):
matrix[i][j], matrix[i][n-j-1] = matrix[i][n-j-1], matrix[i][j]
46 changes: 46 additions & 0 deletions subtree-of-another-tree/yyyyyyyyyKim.py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46 @@
"""
LeetCode 572. Subtree of Another Tree
https://leetcode.com/problems/subtree-of-another-tree/

summary:
root 트리 안에 subRoot 트리와 동일한 구조 & 값을 가진 서브트리가 있는지 확인
"""

# Definition for a binary tree node.
# class TreeNode:
# def __init__(self, val=0, left=None, right=None):
# self.val = val
# self.left = left
# self.right = right
class Solution:
def isSubtree(self, root: Optional[TreeNode], subRoot: Optional[TreeNode]) -> bool:

# DFS
# 시간복잡도 O(n*m) : n = root트리 노드 개수, m = subRoot트리 노드 개수
# 공간복잡도 O(h1+h2) : h1 = root의 최대높이(최악O(n)), h2 = subRoot의 최대높이(최악O(m))
# 두 트리의 구조와 값이 같은지 확인
def isSameTree(node1, node2):
# 둘 다 없으면 True
if not node1 and not node2:
return True
# 둘 중 하나만 없으면 False
if not node1 or not node2:
return False
# 현재 노드 값이 다르면 False
if node1.val != node2.val:
return False
Comment on lines +26 to +31
Copy link
Contribut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if not node1 or not node2 or node1.val != node2.val:
    return False

return False인 값을 or로 연결해서 작성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이 부분은 가독성을 위해 if 문을 두 개로 나눠 작성하신 건지 궁금합니다.

Copy link
Contributor Auth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조건이 좀 더 명확하게 보이고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나눠서 작성했습니다~


# root 트리랑 subRoot 트리의 양쪽 서브트리 재귀 탐색
return isSameTree(node1.left, node2.left) and isSameTree(node1.right, node2.right)

# root 트리를 DFS로 돌면서 subRoot와 같은지 확인
def dfs(node):
if not node:
return False
if isSameTree(node, subRoot):
return True

# root 트리의 양쪽 서브트리 탐색
return dfs(node.left) or dfs(node.right)

return dfs(ro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