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erged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22 changes: 22 additions & 0 deletions contains-duplicate/mmyeon.js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22 @@
/**
* @param {number[]} nums
* @return {boolean}
*/

/**
*
* 접근 방법
* - Set 객체 사용해서 숫자 중복 제거하기
* - 원본 배열과 길이 비교하기
*
* 시간복잡도 :
* - 배열 순회해서 요소 Set에 삽입 : O(n)
* - Set의 사이즈 크기 비교 : O(1)
*
* 공간복잡도 :
* - Set에 유니크한 숫자 저장 : O(n)
*/

var containsDuplicate = function (nums) {
return new Set(nums).size !== nums.length;
};
34 changes: 34 additions & 0 deletions house-robber/mmyeon.js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34 @@
/**
*
* 접근 방법 : dp 사용
* - 배열 길이가 1개 일때는 첫 번쨰 값 리턴하고, 2개면 더 큰 수를 리턴한다.
* - 3개 부터는 바로 옆집 값에 현재집 값을 더한 값과 옆옆집의 값을 비교해서 큰 값을 계산한다.
* - 다음 집 값에 현재까지의 값 활용하기 위해서, 바로 옆집, 옆옆집 값을 업데이트해준다.
* - 현재 값이 저장된 옆집값을 리턴한다.
*
* 시간복잡도 :
* - 주어진 숫자 배열 길이만큼 1회 순회하니까 O(n)
*
* 공간복잡도 :
* - 옆집과 옆옆집 값을 2개의 변수에 저장해야하니까 O(1)
*
*/
/**
* @param {number[]} nums
* @return {number}
*/
var rob = function (nums) {
if (nums.length === 1) return nums[0];
if (nums.length === 2) return Math.max(nums[0], nums[1]);

let prevPrevHouse = nums[0];
let prevHouse = Math.max(nums[0], nums[1]);

for (let i = 2; i < nums.length; i++) {
const current = Math.max(prevHouse, prevPrevHouse + nums[i]);
prevPrevHouse = prevHouse;
prevHouse = current;
}

return prevHouse;
};
46 changes: 46 additions & 0 deletions longest-common-subsequence/mmyeon.js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46 @@
/**
*
* 접근 방법 :
* - 중복 숫자 제거한 뒤, 숫자 순회하면서 연속 숫자의 시작 지점인지 체크
* - 더 작은 숫자가 없으면 현재 숫자가 연속 숫자의 시작 지점이기 때문에, 연속된 다음 큰 숫자가 존재하는지 체크
* - 있으면 count 증가시키고, 그 다음 숫자 있는지 반복해서 체크
* - 연속 숫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순회하기
* - count가 maxCount보다 큰 경우 maxCount값을 count 값으로 업데이트
*
* 시간복잡도 :
* - 숫자 배열 길이를 모두 순회하니까 O(n)
*
* 공간복잡도 :
* - Set을 사용해서 숫자 중복 제거하고 저장하니까 O(n)
*/

/**
* @param {number[]} nums
* @return {number}
*/
var longestConsecutive = function (nums) {
// 배열 비어있는 경우 처리
if (nums.length === 0) return 0;

const uniqueNums = new Set(nums);
let maxCount = 1;

for (const num of uniqueNums) {
// 연속된 숫자의 시작 지점인지 체크(더 작은 숫자가 존재하지 않아야 함)
if (!uniqueNums.has(num - 1)) {
let next = num + 1;
let count = 1;

// 연속 숫자가 더 존재하는지 체크
while (uniqueNums.has(next)) {
next++;
count++;
}

// 기존 maxCount보다 크면, count 값으로 업데이트하기
if (maxCount < count) maxCount = count;
}
}

return maxCount;
};
33 changes: 33 additions & 0 deletions top-k-frequent-elements/mmyeon.js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33 @@
/**
* 접근 방법 :
* - 숫자 바열을 전체 순회하면서 빈도수를 객체에 저장
* - 객체 값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뒤, 원하는 항목만큼 자르고 숫자로 변환한 뒤 리턴하기
*
* 시간복잡도 : O(nlogn)
* - 숫자 배열 길이 = n , 가져올 항목 개수 = k
* - 객체에 숫자와 빈도수 저장하기 위해서 모든 숫자 순회 : O(n)
* - 객체 키값을 내림차순으로 정렬 : O(nlogn)
* - slice, map : O(k)
*
* 공간복잡도 :
* - 숫자 배열의 길이만큼 객체에 저장하니까 O(n)
*/

/**
* @param {number[]} nums
* @param {number} k
* @return {number[]}
*/

var topKFrequent = function (nums, k) {
const obj = {};

for (const num of nums) {
obj[num] = (obj[num] ?? 0) + 1;
}

return Object.entries(obj)
.sort((a, b) => b[1] - a[1])
.slice(0, k)
.map((item) => Number(item[0]));
};
45 changes: 45 additions & 0 deletions valid-palindrome/mmyeon.js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45 @@
/**
*
* 접근 방법 :
* - 문자열 순회하면서 소문자로 변경한 뒤, 정규식을 이용해 알파벳과 숫자만 추출
* - 추출된 문자에 투 포인터 사용해서 앞뒤 문자 같은지 비교.
* - 다르면 false 바로 리턴하고, 끝까지 같으면 true 반환
*
* 시간복잡도 :
* - 문자열 길이가 n일 때, O(n)
* - match로 문자열 체크 : O(n)
* - 투 포인터로 앞뒤 문자 비교 : O(n)
*
* 공간복잡도 :
* - 최악의 경우 모든 문자가 알파벳이거나 숫자인 경우 길이가 n이 됨 : O(n)
*
* 배운 점 :
* - 문자값 필요한 게 아니니까 불필요한 배열 변환(reverse) 줄이기
* - 문자열이 조건 범위에 부합하는지 체크할 때는 정규식 활용하기
*/

/**
* @param {string} s
* @return {boolean}
*/

var isPalindrome = function (s) {
const alphanumericCharacters = s.toLowerCase().match(/[a-z0-9]/g) || [];

let leftPointer = 0;
let rightPointer = alphanumericCharacters.length - 1;

while (leftPointer < rightPointer) {
if (
alphanumericCharacters[leftPointer] !==
alphanumericCharacters[rightPointer]
) {
return false;
}

leftPointer++;
rightPointer--;
}

return true;
};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