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erged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41 changes: 41 additions & 0 deletions Yonghoon/1,2 장.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41 @@
# 1. 코딩 중 겪는 혼란에 대한 이해
## 1.1 코드가 초래하는 세 가지 종류의 혼란
- 지식의 부족 - 장기 기억 공간(LTM) 의 문제
- 정보의 부족 - 단기 기억 공간(STM) 의 문제
- 처리 능력의 부족 - 작업 기억 공간(Working Memory) 의 문제

## 1.2 코딩에 영향을 주는 인지 과정
- LTM : 자바 언어의 키워드 의미, maxint 값ㅣ, 영어 단어의 의미
- 기억을 영구적으로 저장
- STM : 들어오는 정보를 잠시 저장. 누군가가 알려주는 전화번호. 보통 최대 12개 까지 동시 기억
- STM의 역할 수행에 있어 LTM 도 보통 관여를 많이 한다
-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캐시
- 작업 기억 공간 : 머리로 코드를 수행 실행

## 1.3 인지 과정들의 상호작용
- 정보 -> 필터 -> STM + LTM -> 작업 기억 공간
- STM : 코드 분석을 할때 읽는 내용
- LTM : 몇개월 전 구현한 내용

# 2. 신속한 코드 분석
## 2.1 코드를 신속하게 읽기
- LTM : 자바 문법, 알고 있는 알고리즘(삽입정렬, 패턴 등)
- STM : 코드를 읽으며 본 변수명, 할당된 값, 조건 등

## 2.2 기억의 크기 제한 극복
- STM 는 제한된 크기를 가지며 최대 6개 기억
- 어떻게 극복할까?
- 청크(덩어리) 를 통해 기억의 조각을 키운다
- 이렇게 기억의 조각을 키울려면 LTM에 저장된 정보가 많아야 한다
- 디자인 패턴, 기존 알고리즘 등
- 즉 LTM 에 저장된 지식을 많이 활요앟여 청크크기를 키워 코드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읽는다

## 2.3 읽는 것보다 보는 것이 많다
- STM 도달전 감각기어공간을 통과(영상 기억 공간)
- 무의식적으로 처리할 정보를 선택하게 된다
- 이때 아는게 많으면 처리한 정보 선택이 효율적이다
- 묶기 쉬운 코드 : 디자인 패턴
- 표식은 청크와 다르다.
- 단순 표식 은 +,-,> 같은 연산자, if, else 같은 구조문
- 복합 표식 은 self.left, self.right 와 같이 단순표식이 모인 코드 + LTM 이 합쳐저 기능을 알려준다(우리는 이진트리일거라고 예측도 가능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