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nversation

@prgmr99
Copy link
Member

@prgmr99 prgmr99 commented Nov 17, 2025

답안 제출 문제

작성자 체크 리스트

  • Projects의 오른쪽 버튼(▼)을 눌러 확장한 뒤, Week를 현재 주차로 설정해주세요.
  • 문제를 모두 푸시면 프로젝트에서 StatusIn Review로 설정해주세요.
  • 코드 검토자 1분 이상으로부터 승인을 받으셨다면 PR을 병합해주세요.

검토자 체크 리스트

Important

본인 답안 제출 뿐만 아니라 다른 분 PR 하나 이상을 반드시 검토를 해주셔야 합니다!

  • 바로 이전에 올라온 PR에 본인을 코드 리뷰어로 추가해주세요.
  • 본인이 검토해야하는 PR의 답안 코드에 피드백을 주세요.
  • 토요일 전까지 PR을 병합할 수 있도록 승인해주세요.

@prgmr99 prgmr99 moved this from Solving to In Review in 리트코드 스터디 6기 Nov 21, 2025
@prgmr99
Copy link
Member Author

prgmr99 commented Nov 23, 2025

@DaleStudy 리뷰해줘

@dalestudy
Copy link
Contributor

dalestudy bot commented Nov 23, 2025

전체적으로 두 문제 모두 깔끔하고 직관적인 풀이입니다! 특히, 메모이제이션을 활용한 피보나치 접근법과 해시맵을 이용한 아나그램 판별법이 효율적입니다. 다만, 몇 가지 개선 사항과 피드백을 드리자면:

  1. 시간/공간 복잡도 명시 권장:

    • climbStairs는 TC: O(n), SC: O(n) (재귀 깊이와 메모이제이션 저장 공간)로 적합하며,
    • isAnagram은 TC: O(n), SC: O(1) 또는 O(k) (문자 종류 수, 일반적으로 고정된 문자 집합이 아니면 O(n))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정보를 PR에 명시하면 더 완성도 높아집니다.
  2. climbStairs 개선 제안:

    • 재귀 대신 반복문으로 풀면 스택 오버플로우 위험이 적고, 시간/공간 효율도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DP로 바꾸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isAnagram 가독성:

    • stringMap 대신 객체 리터럴 {} 사용도 깔끔하며, 이미 사용 중인 Map도 충분히 괜찮습니다.
    • currentValue 대신 count 등 의미를 더 명확히 하는 변수명이 좋습니다.
    • 마지막에 모든 문자 수가 0인지 검증하는 루프가 빠져 있는데, 현재는 stringMap 값이 0이 아니더라도 반환값이 true가 될 수 있으니, 최종 검증을 위해 한 번 더 검사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4. 추가 제안:

    • isAnagram의 경우, 배열을 정렬 후 비교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고, 속도가 비슷하거나 더 빠를 수 있습니다. 이는 간단한 문제에 대해 더 간결한 솔루션입니다.

전반적으로 깔끔하고 효율적인 구현입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며 최적화하는 연습 계속하세요. 좋은 문제 풀이입니다!

@seungriyou seungriyou self-requested a review November 23, 2025 13:54
Copy link
Contributor

@seungriyou seungriyou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풀이가 직관적이어서 이해가 쉬웠습니다! ㅎㅎ

이번 한 주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

var climbStairs = function (n) {
const memo = {};

function fibo(num, memo) {
Copy link
Contribut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클로저 내부에서는 memo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fibo의 파라미터로 memo를 넘길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return memo[num];
}

const result = fibo(num - 1, memo) + fibo(num - 2, memo);
Copy link
Contribut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재귀가 아닌 반복문을 이용한다면 call stack과 memo를 사용할 필요 없이 변수 2개만 사용함으로써 공간 복잡도를 O(1)로 최적화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prgmr99 prgmr99 merged commit 4a3c5fb into DaleStudy:main Nov 23, 2025
1 check passed
@github-project-automation github-project-automation bot moved this from In Review to Completed in 리트코드 스터디 6기 Nov 23, 2025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Projects

Status: Completed

Development

Successfully merging this pull request may close these issues.

2 particip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