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erged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55 changes: 55 additions & 0 deletions yoon/lv0/Day6-10/각도기_정혜윤.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55 @@
# 각도기

## 문제 설명

각에서 0도 초과 90도 미만은 예각, 90도는 직각, 90도 초과 180도 미만은 둔각 180도는 평각으로 분류합니다. 각 angle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예각일 때 1, 직각일 때 2, 둔각일 때 3, 평각일 때 4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예각 : 0 < angle < 90
직각 : angle = 90
둔각 : 90 < angle < 180
평각 : angle = 180

## 제한사항

0 < angle ≤ 180
angle은 정수입니다.

## 입출력 예
angle result
70 1
91 3
180 4

### 입출력 예 설명

#### 입출력 예 #1

angle이 70이므로 예각입니다. 따라서 1을 return합니다.

#### 입출력 예 #2

angle이 91이므로 둔각입니다. 따라서 3을 return합니다.

### 입출력 예 #3

angle이 180이므로 평각입니다. 따라서 4를 return합니다.

## 나의 풀이

```js
function solution(angle) {
var answer = 0;

if(0 < angle && angle <90){
answer = 1;
}else if(angle === 90){
answer = 2;
}else if(90 < angle && angle < 180){
answer = 3;
}else if(angle === 180){
answer = 4;
}
return answer;
}

```
42 changes: 42 additions & 0 deletions yoon/lv0/Day6-10/문자반복출력하기_정혜윤.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42 @@
# 문자 반복 출력하기

## 문제 설명

문자열 my_string과 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my_string에 들어있는 각 문자를 n만큼 반복한 문자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 제한사항

2 ≤ my_string 길이 ≤ 5
2 ≤ n ≤ 10
"my_string"은 영어 대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입출력 예
my_string n result
"hello" 3 "hhheeellllllooo"

### 입출력 예 설명

#### 입출력 예 #1

"hello"의 각 문자를 세 번씩 반복한 "hhheeellllllooo"를 return 합니다.

## 나의 풀이

```js
function solution(my_string, n) {
var answer = '';
let count = my_string.length;
let cnt = 0;
while (cnt < count){
let repeatChar = my_string[cnt];

for (let repeatCnt = 0; repeatCnt < n ; repeatCnt +=1){
answer = answer + repeatChar;
}
cnt = cnt +1 ;

}
return answer;
}

```
41 changes: 41 additions & 0 deletions yoon/lv0/Day6-10/문자열뒤집기_정혜윤.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41 @@
# 문자열 뒤집기

## 문제 설명

문자열 my_str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my_string을 거꾸로 뒤집은 문자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1 ≤ my_string의 길이 ≤ 1,000

## 입출력 예
my_string return
"jaron" "noraj"
"bread" "daerb"

### 입출력 예 설명
#### 입출력 예 #1

my_string이 "jaron"이므로 거꾸로 뒤집은 "noraj"를 return합니다.

#### 입출력 예 #2

my_string이 "bread"이므로 거꾸로 뒤집은 "daerb"를 return합니다.

## 나의 문제풀이

```js

function solution(my_string) {
var answer = '';
const arr = Array.from(my_string);
let length = arr.length;
let stringPicked = [];
for (var i = length; 1 <= i ; i -= 1) {
let picked = arr.pop();
stringPicked.push(picked);
}

let changestr = stringPicked.join('');
return changestr;
}
```
38 changes: 38 additions & 0 deletions yoon/lv0/Day6-10/양꼬치_정혜윤.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38 @@
# 양꼬치

## 문제 설명

머쓱이네 양꼬치 가게는 10인분을 먹으면 음료수 하나를 서비스로 줍니다. 양꼬치는 1인분에 12,000원, 음료수는 2,000원입니다. 정수 n과 k가 매개변수로 주어졌을 때, 양꼬치 n인분과 음료수 k개를 먹었다면 총얼마를 지불해야 하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 제한사항

0 < n < 1,000
n / 10 ≤ k < 1,000
서비스로 받은 음료수는 모두 마십니다.

## 입출력 예
n k result
10 3 124,000
64 6 768,000

### 입출력 예 설명

#### 입출력 예 #1

10인분을 시켜 서비스로 음료수를 하나 받아 총 10 * 12000 + 3 * 2000 - 1 * 2000 = 124,000원입니다.

#### 입출력 예 #2

64인분을 시켜 서비스로 음료수를 6개 받아 총 64 * 12000 + 6 * 2000 - 6 * 2000 =768,000원입니다.

## 나의 풀이
```js

function solution(n, k) {
var answer = 0;
answer = n*12000 + k*2000 - 2000*Math.floor(n/10);

return answer;
}

```
90 changes: 90 additions & 0 deletions yoon/lv0/Day6-10/직각삼각형출력하기_정혜윤.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90 @@
# 직각삼각형 출력하기

## 문제 설명

"*"의 높이와 너비를 1이라고 했을 때, "*"을 이용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을 그리려고합니다. 정수 n 이 주어지면 높이와 너비가 n 인 직각 이등변 삼각형을 출력하도록 코드를 작성해보세요.

## 제한사항

1 ≤ n ≤ 10

## 입출력 예

입력 #1

3

출력 #1

*
**
***

## 입출력 예 설명

### 입출력 예 #1

n이 3이므로 첫째 줄에 * 1개, 둘째 줄에 * 2개, 셋째 줄에 * 3개를 출력합니다.

## 나의 풀이

### while 문으로 풀기

``` js
const readline = require("readline");
const rl = readline.createInterface({
input: process.stdin,
output: process.stdout,
});

let input = [];

rl.on("line", function (line) {
input = line.split(" ");
}).on("close", function () {
const n = Number(input[0]);

let line = 1;

while (line <= n) {
let starStr = "";
let cnt = 0;
while (cnt < line) {
starStr = starStr + "*"
cnt = cnt + 1;
}
console.log(starStr)
line = line + 1;
}
});
```

### for 문으로 바꾸기

```js

const readline = require("readline");
const rl = readline.createInterface({
input: process.stdin,
output: process.stdout,
});

let input = [];

rl.on("line", function (line) {
input = line.split(" ");
}).on("close", function () {
const n = Number(input[0]);

let line = 1;

for (let line = 1 ; line <= n ; line += 1) {
let starStr = "";
for (let cnt= 0 ; cnt < line; cnt +=1) {
starStr = starStr + "*"
}
console.log(starStr)
}
});
```

42 changes: 42 additions & 0 deletions yoon/lv0/Day6-10/짝수의합_정혜윤.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42 @@
# 짝수의 합

## 문제 설명

정수 n이 주어질 때, n이하의 짝수를 모두 더한 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0 < n ≤ 1000
입출력 예
n result
10 30
4 6

## 입출력 예 설명

### 입출력 예 #1

n이 10이므로 2 + 4 + 6 + 8 + 10 = 30을 return 합니다.

### 입출력 예 #2

n이 4이므로 2 + 4 = 6을 return 합니다.

## 나의 풀이
```js

function solution(n) {
var answer = 0;
let cnt = 0;
let sum = 0;

while (cnt <= n ){
if(cnt % 2 === 0){
sum = sum + cnt;
}
cnt = cnt +1 ;
}
return sum;
}

```
56 changes: 56 additions & 0 deletions yoon/lv0/Day6-10/짝수홀수개수_정혜윤.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56 @@
# 짝수 홀수 개수

## 문제 설명

정수가 담긴 리스트 num_list가 주어질 때, num_list의 원소 중 짝수와 홀수의 개수를 담은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 제한사항

1 ≤ num_list의 길이 ≤ 100
0 ≤ num_list의 원소 ≤ 1,000

## 입출력 예
num_list result
[1, 2, 3, 4, 5] [2, 3]
[1, 3, 5, 7] [0, 4]

### 입출력 예 설명

#### 입출력 예 #1

[1, 2, 3, 4, 5]에는 짝수가 2, 4로 두 개, 홀수가 1, 3, 5로 세 개 있습니다.

#### 입출력 예 #2

[1, 3, 5, 7]에는 짝수가 없고 홀수가 네 개 있습니다.

## 나의 풀이

```js
function solution(num_list) {
var array = [];
let length = num_list.length;
let answer=[];

if ( 1<= length && length <=100){

for(let cnt = 0; cnt < length; cnt = cnt+1){
array.push(num_list[cnt] % 2);
}

let odd
= array.filter(element => 1 === element).length;


let even
= array.filter(element => 0 === element).length;

console.log(odd);

answer.push(even, odd);
return answer;
}

}

```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