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 Discuss Project ✏️
- cycle : 1 week (수요일)
- 자유로운 주제 혹은 관심 주제 중 부담없는 선에서 준비
- 발표자는 한주까지 연기 가능
- 적극적 토론 지향
- 스터디 하루전 전 내용 공유하기
- 5인이상 풀리면 주변 맛집에서 저녁먹고 이후 스터디 하기
- 스터디 타임라인을 만들자
- 저녁: 7시 ~8시
- 스터디: 8시 ~ 10시
- 잡담: 10시 ~ 11시
- 클린 코드
- Cycle.1 2021.04.07(수) - 클린코드 - 희준
- 디자인 패턴
- 리팩토링
- 뒤로가기
- Cycle.2 2021.05.14(금) - 뒤로가기 상태 유지에 대한 고찰 - 성광
- Cycle.2 2021.06.03(목) - 뒤로가기 상태 유지에 대한 고찰2 - 성광
- Typescript
- D3
- Dart
- React
- React Query
- WebRTC
- Vite
- UI Components
- Tdd
- Docker
- Aws
- GraphQL
- Functional programming
- ngrok
- Lerna
- Yarn workspace
- Yarn berry
- Github actions
성광 - 동주 - 상훈 - 희준 - 진영 - 재섭
진영 - 성광 - 동주 - 재섭 - 상훈 - 재섭
- NestJS에서 throw로 예외를 방출하지 않고 객체로 만들어서 반환하는데, Exception을 만들어서 처리할 수 있을까?
- Exception 상태 코드 정의와 구조를 잘 짜면 Error를 확장하여 throw 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을 것 같다.
- Example feature/custom-exception
- Entity에 대한 로직을 서비스가 아닌 모델에서 처리하는 부분이 인상 깊었다.
- typeorm에서 쿼리를 처리(CUD)할 때 전/후처리를 할 수 있도록 데코레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Insert, Remove, Update)
- Repository를 통해 데이터를 조회를 했을 때 해당 Entity를 반환해줘서 Entity에 대한 비지니스 로직 메서드를 작성하고 사용할 수 있다.
- Resolver와 Service의 반환 타입을 맞출 수 있지 않을까?
output.dto.ts
공통 반환 클래스를 생성하였고, 각 Input, Output에 대해 클래스를 생성하게 되는데 Resolver와 Service의 반환 타입을 맞출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Q. 타입을 맞추지 않는다면 어떤 경우가 있을까?
성광 - 상훈 - 성광 - 동주 - 희준
-
Cycle.2 2021.05.14(금) - 뒤로가기 상태 유지에 대한 고찰 - 성광
-
Cycle.2 2021.05.25(화) - 성광님도 한번 보면 무릎을 탁칠 WebRTC 문서를 작성해 보자 - 상훈
-
Cycle.2 2021.06.03(목) - 뒤로가기 상태 유지에 대한 고찰2 - 성광
-
Cycle.2 2021.06.23(화) - React Query - 희준
회고 Mirro보드 바로가기
동주 - 상훈 - 희준 - 재섭 - 성광
- Cycle.1 2021.03.17(수) - Typescript 얕은 정리 - 동주
- Cycle.1 2021.03.30(화) - D3 얕은 정리 - 상훈
- Cycle.1 2021.04.07(수) - 클린코드 - 희준
- Cycle.1 2021.04.16(금) - IDE를 활용하여 리팩토링 전략 실습 - 재섭
- Cycle.1 2021.04.22(목) - React Tutorial - 성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