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노레포 형태로 배너 메인 스크립트와 라이브 로케이터를 관리합니다. 모든 패키지는 Vite 기반이며, 루트에서 한 번의 빌드로 필요한 정적 자산을 dist/ 아래에 생성합니다.
@banner/main: 사이트 방문자에게 제공되는 메인 스크립트입니다. 페이지 로드시 배너 위치 정보를 JSON으로 받아 지정된 위치 뒤에 하드코딩된 배너를 삽입합니다.?bannerLocator=1같은 특수 search parameter 가 있을 때만 라이브 로케이터 모듈을 로드합니다.@banner/live-locator: React 기반의 오버레이 UI로, 관리자만 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 위치 지정 도구입니다. 커스텀 엘리먼트<banner-live-locator>로 제공되며 Shadow DOM 안에서 렌더링되어 사이트 스타일과 격리됩니다.
-
패키지 설치
npm install
-
두 개발 서버 동시에 실행
npm run dev
@banner/main은 기본 포트5173,@banner/live-locator는 기본 포트5174에서 실행됩니다.
-
라이브 로케이터만 별도 실행하고 싶다면
npm run dev:live-locator
-
메인 스크립트만 별도 실행하고 싶다면 (기본 포트:
5173)npm run dev:main
- 메인 페이지에 접속한 뒤 URL 에
?bannerLocator=1을 추가하면 로케이터 모듈이http://localhost:5174/src/live-locator.tsx를<script type="module">로 삽입하면서 로드됩니다. - 필요 시
<script type="module">태그를 동적으로 삽입해 라이브 로케이터를 불러오며, 커스텀 엘리먼트가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 메인 페이지에 접속한 뒤 URL 에
루트에서 한 번에 두 패키지를 빌드하면 필요한 파일이 dist/ 하위에 정리됩니다.
npm run build-
출력 구조 예시:
dist/ main.js banner-locations.json live-locator/ live-locator.js manifest.json
배포 시 S3와 같은 스토리지에 dist/ 폴더 전체를 업로드하고, 사이트에는 다음과 같이 삽입합니다.
<script type="module" src="https://cdn.example.com/banner/main.js"></script>관리자가 라이브 로케이터를 사용해야 할 때는 URL 에 ?bannerLocator=1 파라미터를 붙여 접속하면 됩니다. 일반 방문자는 해당 파라미터가 없으므로 라이브 로케이터 모듈이 로드되지 않습니다.
banner-locations.json은 현재 모킹된 데이터이며, 필요한 경우 S3와 같은 외부 경로로 교체할 수 있습니다.window.__BANNER_TOOL__와window.__BANNER_LIVE_LOCATOR__글로벌 객체에 버전/상태 정보를 노출하므로 디버깅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