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mmit a72ba57

Browse files
authored
Merge pull request border-studygroup#39 from bongsee/develop
Upload Programmers Coding Test Lv.0 Day 5
2 parents 304e04e + f58c3c8 commit a72ba57

File tree

4 files changed

+213
-0
lines changed

4 files changed

+213
-0
lines changed
Lines changed: 39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39 @@
1+
### 문제 설명
2+
3+
- 머쓱이는 40살인 선생님이 몇 년도에 태어났는지 궁금해졌습니다. 나이 age가 주어질 때, 2022년을 기준 출생 연도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4+
5+
---
6+
7+
### 제한사항
8+
9+
- 0 < age ≤ 120
10+
- 나이는 태어난 연도에 1살이며 1년마다 1씩 증가합니다.
11+
12+
---
13+
14+
### 입출력 예
15+
16+
| age | result |
17+
| --- | ------ |
18+
| 40 | 1983 |
19+
| 23 | 2000 |
20+
21+
---
22+
23+
### 입출력 예 설명
24+
25+
- 입출력 #1 : 2022년 기준 40살이므로 1983년생입니다.
26+
- 입출력 #2 : 2022년 기준 23살이므로 2000년생입니다.
27+
28+
---
29+
30+
### 나의 풀이
31+
32+
```javascript
33+
function solution(age) {
34+
criteria = 2022;
35+
return criteria - age + 1;
36+
}
37+
```
38+
39+
### 회고
Lines changed: 47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47 @@
1+
### 문제 설명
2+
3+
- 정수가 들어 있는 배열 num_list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um_list의 원소의 순서를 거꾸로 뒤집은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4+
5+
---
6+
7+
### 제한사항
8+
9+
- 1 ≤ num_list의 길이 ≤ 1,000
10+
- 0 ≤ num_list의 원소 ≤ 1,000
11+
12+
---
13+
14+
### 입출력 예
15+
16+
| num_list | result |
17+
| --------------------- | --------------------- |
18+
| [1, 2, 3, 4, 5] | [5, 4, 3, 2, 1] |
19+
| [[1, 1, 1, 1, 1, 2] | [2, 1, 1, 1, 1, 1] |
20+
| [1, 0, 1, 1, 1, 3, 5] | [5, 3, 1, 1, 1, 0, 1] |
21+
22+
---
23+
24+
### 입출력 예 설명
25+
26+
- 입출력 #1 : num_list가 [1, 2, 3, 4, 5]이므로 순서를 거꾸로 뒤집은 배열 [5, 4, 3, 2, 1]을 return합니다.
27+
- 입출력 #2 : num_list가 [1, 1, 1, 1, 1, 2]이므로 순서를 거꾸로 뒤집은 배열 [2, 1, 1, 1, 1, 1]을 return합니다.
28+
29+
---
30+
31+
### 나의 풀이
32+
33+
```javascript
34+
function solution(num_list) {
35+
let answer = [];
36+
while (num_list.length !== 0) {
37+
answer.push(num_list.splice(-1)[0]);
38+
}
39+
return answer;
40+
}
41+
```
42+
43+
### 회고
44+
45+
- Array.prototype.splice() 메서드의 return 값은 잘라낸 요소로 만든 배열이다.
46+
- Array.prototype.splice() 메서드는 원본 배열을 직접 변경하는 부수효과가 있는 메서드이다.
47+
- 배열에 배열을 push하면 당연하게도 이차원 배열이 만들어진다.(뭐랑 헷갈리는거지?)
Lines changed: 49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49 @@
1+
### 문제 설명
2+
3+
- 머쓱이는 추운 날에도 아이스 아메리카노만 마십니다. 아이스 아메리카노는 한잔에 5,500원입니다. 머쓱이가 가지고 있는 돈 money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머쓱이가 최대로 마실 수 있는 아메리카노의 잔 수와 남는 돈을 순서대로 담은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4+
5+
---
6+
7+
### 제한사항
8+
9+
- 0 < money ≤ 1,000,000
10+
11+
---
12+
13+
### 입출력 예
14+
15+
| money | result |
16+
| ------ | --------- |
17+
| 5,500 | [1, 0] |
18+
| 15,000 | [2, 4000] |
19+
20+
---
21+
22+
### 입출력 예 설명
23+
24+
- 입출력 #1 : 5,500원은 아이스 아메리카노 한 잔을 살 수 있고 잔돈은 0원입니다.
25+
- 입출력 #2 : 15,000원은 아이스 아메리카노 두 잔을 살 수 있고 잔돈은 4,000원입니다.
26+
27+
---
28+
29+
### 나의 풀이
30+
31+
```javascript
32+
function solution(money) {
33+
const price = 5500;
34+
const answer = [];
35+
if (money % price === 0) {
36+
// 돈이 5500의 배수일 때는 잔돈이 없다.
37+
answer.push(money / price);
38+
answer.push(0);
39+
} else {
40+
// 그렇지 않다면 잔돈을 출력한다.
41+
const value = Math.floor(money / price); // value는 구입 가능한 갯수
42+
const rest = money - price * value; // rest는 구입 후 잔돈
43+
answer.push(value, rest);
44+
}
45+
return answer;
46+
}
47+
```
48+
49+
### 회고
Lines changed: 78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0,0 +1,78 @@
1+
### 문제 설명
2+
3+
- 머쓱이네 옷가게는 10만 원 이상 사면 5%, 30만 원 이상 사면 10%, 50만 원 이상 사면 20%를 할인해줍니다.
4+
구매한 옷의 가격 price가 주어질 때, 지불해야 할 금액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5+
6+
---
7+
8+
### 제한사항
9+
10+
- 10 ≤ price ≤ 1,000,000
11+
- price는 10원 단위로(1의 자리가 0) 주어집니다.
12+
- 소수점 이하를 버린 정수를 return합니다.
13+
14+
---
15+
16+
### 입출력 예
17+
18+
| price | result |
19+
| ------- | ------- |
20+
| 150,000 | 142,500 |
21+
| 580,000 | 464,000 |
22+
23+
---
24+
25+
### 입출력 예 설명
26+
27+
- 입출력 #1 : 150,000원에서 5%를 할인한 142,500원을 return 합니다.
28+
- 입출력 #2 : 580,000원에서 20%를 할인한 464,000원을 return 합니다.
29+
30+
---
31+
32+
### 나의 풀이
33+
34+
```javascript
35+
function solution(price) {
36+
const level1 = 1 - 0.05;
37+
const level2 = 1 - 0.1;
38+
const level3 = 1 - 0.2;
39+
if (price >= 500_000) {
40+
return Math.floor(price * level3);
41+
} else if (price >= 300_000) {
42+
return Math.floor(price * level2);
43+
} else if (price >= 100_000) {
44+
return Math.floor(price * level1);
45+
} else {
46+
return price;
47+
}
48+
}
49+
```
50+
51+
### 회고
52+
53+
- 조건이 여러개 달리기 때문에 switch문을 사용해보면 어떨까했다.
54+
- switch문의 case 뒤에 오는 건 조건이 아니라 값이다. 즉, 조건이 와버리면 값으로 평가해버리기 때문에 Boolean 값으로 자동 형변환이 진행된다.
55+
- 또한 switch문은 기준이 되는 값과 case뒤에 오는 값의 일치여부(일치 연산자 `===`)를 보기 때문에 아래의 코드는 내 의도와는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56+
57+
```javascript
58+
function solution(price) {
59+
const level1 = 0.05;
60+
const level2 = 0.1;
61+
const level3 = 0.2;
62+
switch (price) {
63+
case price >= 500_000:
64+
// "price가 price >= 500_000이라면" 으로 해석이 되는 것이 아니라, 'price >= 500_000'는 Boolean값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price === true라면', 또는 'price === false 라면' 으로 해석되는 것.
65+
return price * (1 - level3);
66+
case price >= 300_000:
67+
return price * (1 - level2);
68+
case price >= 100_000:
69+
return price * (1 - level1);
70+
}
71+
}
72+
```
73+
74+
- swicth문은 case 뒤에 오는 값을 하나로 특정지을 수 있고, 그 값을 기준값과 비교하려고 할 때 써야할 것 같다.
75+
- 논외로 switch문 사용하면서 들었던 의문을 정리해본다.
76+
- 함수 내부의 switch문에서 반복문의 종료로 return을 사용할 수 있다.
77+
- 다만 break는 switch문만을 탈출하고 함수 내부의 흐름으로 넘어가는 반면,
78+
- return을 사용할 경우 switch문을 탈출하는 것 뿐 아니라, switch문이 위치해있던 함수도 종료함으로써 함수를 호출했던 context로 실행 흐름이 넘어간다.

0 commit comments

Comments
 (0)